-
-
레이디스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12월
평점 :
책은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다. 나름 많이 읽는다고 생각하는데도 불구하고 생소한 작가가 있고, 모르는 작품이 있으니 말이다. 이 < 레이디스 >의 작가 하이스미스는 '톰 리플리'라는 사이코패스 범죄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리플리 시리즈로 꽤 그 명성이 대단하다. 그녀의 첫번째 작품인 < 재능있는 리플리씨 >씨가 " 태양은 가득히"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되었고, 멧데이먼 주연의 "리플리"로 리메크되었단다. 이렇게 보니 영화내용은 그다지 생각나지 않으나 제목은 한번쯤은 들어본 이야기이다. 또 내 읽어야할 도서목록에 추가되었다. 꼭 읽어보고 말리라.
이 책 < 레이디스 >에는 16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내가 단편에 좀 약한 편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느껴지는 것이 무언가 불안함, 혹은 강박 등으로 좀 불안하다. 「세인트 포더링게이 수녀원의 전설」에서는 여성만이 머물수 있는 수녀원에 킬리크랭키 수년가 산길 근처에서 '메리'를 발견한다. 사실 '메리'는 남자아이였다. 여성들만 머물수 있는 수녀원에서 이 어린 아기는 남자아이라는 이유만으로 머물수 없게 되자 '메리'라는 이름으로 머물수 있게 되었다. 다른 아이들에게는 아무말도 하지 말자라고 한다. 하지만 아이가 커가면서 어찌 모를수가 있을까. 감춘다고 감춰질 것이 아닐텐데 말이다. 하지만 메리는 자신이 다름을 알아챘고, 지금 당장 세상으로 나아가고 싶어했다. 그래서 수녀님들에게 자신을 놓아주지 않으면 수도원을 통째로 날려버리겠다고 겁박한다. 이 글을 읽다가 갑자기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라는 말이 떠오르는 것을 왜 일까. 철저하게 자신의 성을 베일에 감추려고만 했던 수녀님들.. 그렇다고 감춰지지 않는 진실 속에 아마도 메리는 불안하지 않았을까.
「영웅」에서는 크리스천슨씨 집으로 루실이 보모로 들어가게 된다. 그 집 아이들은 지난번 보모인 캐서린 보다 루실을 좋아한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이 아빠도 슬쩍 커피를 먹게 해주는데 캐서린은 주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루실은 주지 않겠냐고 말할때 요녀석들 봐라라는 느낌이 있었다. 혹시나 그래서 캐서린에게 못되게 굴지 않았을까. 내가 보기에는 크리스천슨 부인은 그냥 평범하고 참 좋은 사람같아 보였다. 하지만 루실은 그녀에게 잘 보이고 이 집에서 계속해서 아이들을 돌보며 바랬던 듯 싶다. 오히려 월급이 많다고 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그랬던 그녀가 이 집에 남아 오래동안 머물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루실은 불을 지르고 아이들을 구해 영웅이 될 방도를 찾게 된다. 가끔은 영웅이 되어 인정받기를 원하는 사람들도 있다. 드라마에서 종종 보던 경우이긴 한데, 루실은 무엇이 불안했을까. 지금까지도 충분했는데 무언가를 더 해야한다고 생각했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