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정 홍련 - 철산사건일 ㅣ 한국추리문학선 14
이수아 지음 / 책과나무 / 2022년 11월
평점 :
어릴때 즐겨 읽던?, 알던?, 듣던? 뭐라고 해야하는지... 하지만 그리 낯설지 않은 이야기 "장화 홍련"이야기가 이수아 작가에 의해 새롭게 태어났다. 제목부터가 유독 눈길을 끌었던 책인데, < 마담 타로 >의 그 이수아 작가님 책이라니^^ 당시 < 마담 타로 >를 읽을때도 입에 착 감기듯 읽어 나갔는데, 이 책도 600여페이지에 달하면서 가독성도 꽤 좋고, 재미도 보장할 수 있다. 게다가 그 옛날의 "장화와 홍련"은 계모의 모략으로 억울하게 죽어 그 한을 풀어달라고 사또에게 나타나 하염없이 울기만 했었는데, 이 책의 장화와 홍련은 꽤 활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특히나 마음에 든다.
철산에 새로 사또가 부임하자 마자 장화홍련 귀신 자매로 인해 죽어나간다. 이 얼마나 원통한 일인가. 하지만 더 원통(?)한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황 대감댁 소실인 원추리 마님이다. 그녀는 바로 홍련이었다. 버젓이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혼백이 되어 사또를 죽인다니... 황대감은 홍련의 친모와 친구사이였다. 언니 장화가 혼례도 안치루고 아이를 낳았다고 누명을 쓰고 자살하고, 아버지는 사라지고, 홍련이마저 죽다 살아난 상황에서 친구의 딸을 거둘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믿을수 있는 집안에 양녀로 보냈는데, 그 집이 역모로 몰리면서 홍련이는 관노가 되었다가 그녀의 영특함으로 의녀로 일을 할 수 있었다. 의녀는 양반의 첩실이 되어 궁에서 나올 수 있었기 때문에 표면상으로만 소실로 삼아 자유의 몸이 되게 해준 것이다. 그런데 철산에서 들려오는 소문에 홍련은 나설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홍련의 간절함에 황대감은 허락할 수 밖에 없었다.
귀신 보는 사또 정동호와 그에게만 보이는 활달한 장화. 그리고 의녀로 일하는 홍련과 홍련의 호위 무사 무영. 그리고 동호와 홍련의 수족같은 쉰동이와 방울이. 이들의 티키타카가 너무나도 재미있게 펼쳐진다. 왜 자꾸만 사또들은 죽어나갔는지.. 억울한 사연을 가진 혼백들은 왜 죽어야만 했는지. 유독, 철산에만 이런 일들이 벌어지면서 폐읍이 되어가고 있는지.. 그리고 계속해서 홍련의 목숨을 노리는 계모까지.. 이야기는 정말로 빠르게 진행되기도 하지만 한시도 눈을 떼기가 힘들에 만드는 것이 작가의 필력에 감탄만 할 따름이다. 하지만, 계모의 존재나 아직 풀어야 할 이야기가 많은데 이야기가 끝나버려서 '아니 벌써 이렇게 끝나면... 열린결말일까... ' 했지만.. 집필후기를 보니 < 탐정 홍련 - 한양 사건 일지 >를 써야하는 숙제가 생겼다고 하시니, 이 기쁨을 어이할꼬. 게다가 한양뿐 아니라 완주, 탐라 등 조선팔도를 다니며 사건을 해결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로 결정을 하셨다니, 작가님의 그 결정을 열렬하게 지지하며 벌써부터 후속작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