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김수영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북클럽 스토킹 도서

이 책을 10년만에 꺼내들었다. 처음 읽었을 때 꽤 재미있기도 했고,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이정훈"이라는 한국 유학생은 2001년 일본 도쿄 지하철에서 선로에 떨어진 취객을 구하고 사망한 故이수현씨를 모델로 하고 있다라는 점에서 내 기억속에 각인되었다. 당시 다카노 가즈아키의 인터뷰 기사를 보고 이 사실을 알았다. 다카노는 "비록 국적이 다르지만 이수현氏처럼 남을 도와줄 수 있는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정훈은 꽤 천재적이고 희귀병을 앓는 아이들의 희망이 되는 약 개발을 위해 적극 도와준다. 일본작가의 이야기 속에서 한국인이 꽤 좋은 모습으로 묘사되서 참 좋았다. 아마 당시 인터뷰 기사를 보지 않았더라면 그냥 좋은 인상만 받고 끝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카노의 마음이 전해지듯 난 이 책이 참 좋다.

어떤 책들은 읽었는지 모르고 다시 읽거나 혹은 분명 읽었는데 내용이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 제노사이드 >는 10년전에 읽었음에도 큰줄기가 생각이 났다. 그리고 문득 그때는 알아채지 못하던 것을 알게되는 것도 있다. 어쩌면 당시에는 그렇게 주목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콩코의 어느 숲에 작은 피그미족 부락에 현대 인류를 넘어선 초인류인 '아키리'가 태어났다. 현대인류보다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어서 강대국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된 기밀들을 손쉽게 풀어낼 것을 우려하여 아키리를 비롯 피그미족과 이 작전에 수행하는 요원들 모두를 살해할 작전을 진행한다. 하지만 인류학자 피어스의 설득으로 요원 4명은 아키리를 아프리카에서 탈출시키는데 동참한다. 가장 큰 요인중 하나는 이 요원들 대장을 맡고 있는 예거는 아들이 불치병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피어스는 아들을 살려주겠다고 했다. 그래서 마음이 움직였다. 아키리는 겐토와 정훈으로 하여금 예거의 아들과 같은 병을 갖고 있는 아이들을 위한 신약개발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누스(아키라)는 도의적으로 상처 하나없이 10만 인질을 손에 넣었다.(p.422) 예전에는 미처 눈치채지 못했는데, 어쩌면 잊었을수도 있고, 아키라의 뜻을 알았을 때 소름이 돋을 정도였다.

지금으로부터 약 50년전, 트루먼 대통령이 알버트 아이슈타인에게 질문을 하나 했습니다. 만약 우주인이 지구를 찾아오면 어떻게 대처하게 될지를. 아인슈타인의 대답은 '결코 공격을 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인류를 뛰어넘는 지적 생명체에게 전쟁을 건다한들, 이길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p.412)

인간은 스스로가 최고의 지성을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기에 교만해질 때가 있다. 이 < 제노사이드 >도 인류를 뛰어넘는 지적 생명체이지만, 어리다는, 혼자라는 이유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 아닐까 본다. 팬더믹 시대가 와서 인간이 이동등을 멈췄을때, 자연이 평온해지는 것을 우리가 목격하지 않았던가. 인간은 겸손해져야 한다. 그리고 가진자들, 그것이 권력이든 돈이든간에 남들보다 더 가진자들이 조금 더 겸손해질 필요가 있음을 절실하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