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편한 편의점 (벚꽃 에디션) ㅣ 불편한 편의점 1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1년 4월
평점 :
편의점이 처음 생겼을때는 잘 찾지 않았었는데, 요즘에는 곳곳에 있던 소소한 가게들이 전부 편의점으로 탈바꿈을 하기도 하고, 24시간 운영과 더불어 택배등 여러 편의를 봐주고 있어서 너무나도 잘 이용하고 있다. 그런 편한 편의점이 왜 불편한 편의점이 되었을까?
염영숙 여사가 독고씨와 연을 맺은건 파우치 때문이었다. 지갑, 통장, 카드등이 들어 있는 파우치를 어디에 두었는지 도통 기억이 나질 않았는데, 낯선 번호로 걸려온 전화에서 자신이 파우치를 주웠다며 배가 고픈데 편의점 도시락을 사먹으면 안되냐고 했다. 지갑을 찾아주었으니 사례금을 줄 요량이었는데 그러라고 했다. 다른 노숙자에게 파우치를 빼앗길 뻔했으나 그 상황에서 도시락이 엎어져도 파우치만은 놓치 않았다. 사례금도 거절한 독고씨를 데리고 걷고 또 걸어서 영숙씨가 운영하는 편의점으로 간다. 언제든지 배고프면 오라 했는데, 그는 항상 유통기한이 지나 폐기되는 도시락을 먹으러 온다. 그러다가 독고씨는 편의점 야간알바를 시작하게 된다.
독고씨는 알콜성 치매를 앓고 있다. 자신의 이름도, 과거도 모른다. 말까지 더듬어 혹시 편의점 일을 잘 해낼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그를 경계했던 주변 사람들이 조금씩 변해감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이 이야기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던 것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낯설지 않은 장소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그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우리가 늘상 만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등장하는 인물들 각자의 시선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다 보니, 서로의 심리들도 너무나도 잘 알 수 있다.
가장 의문스럽던 독고씨의 정체가 밝혀지면서, 그 뒤의 이야기가 2편으로 나온 것이 아닌가 의심해본다. 잘 모르는 사람이지만 때론 좋은 인연이 될수도 있고, 혹은 그야말로 생의 절망감에 세상을 포기하려는 사람을 살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하나 하나의 인연이 참 귀하다고 생각한다. 가끔은 그런 인연을 무시하고 다른이들에게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있어 안타깝긴 하지만 그래도 좋은 사람들은 서로를 알아보며 긍정의 에너지를 키우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