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그냥 조선이야기가 좋다. 한때 고조선 이야기도 좀 찾아봤었는데.. 가능하다면 조선 외 다른 나라의 이야기들도 알고 싶다. 요즘에 신봉승님의 < 조선왕조 500년 >을 읽다 보니, 낯설지 않은 이야기들이어서 꽤 빠르게 읽은 것 같다. 얼마전 세종대왕님 이야기편을 읽었는데, 그 때 느낀 점이 참으로 왕은 극한직업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왕보다는 왕비가 더 극한 직업인 것만 같다. 그야말로 그녀들은 가문과 왕실의권력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애 했던 운명의 여인들이었다.

학창시절 배웠던 역사 속 인물들과 지금 여러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의 생각도 바뀜을 알 수 있다. 아마도 학창시절 배웠던 역사속 그들은, 표면적인 행적들로만 받아들여졌던 것 같다. 하지만 지금 읽어보는 그들은 어째 다른 생각을 갖게 한다. 특히나, 태종의 비였던 원경왕후는 조선의 건국부터 태종이 왕위에 오를때까지 그야말로 정치적인 동반자였다. 하지만 여기 소제목답게, 토사구팽을 당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된다. 태종은 후궁문제도 원경왕후와 대립각을 세웠으며 외척의 정치적 개입에 선을 그었다. 너무 여성들에게만 제약을 가한다는 생각을 이번에 <조선왕조 500년 >을 읽으면서 생각했다.

또한 문종이 세자시절 맞이했던 세자빈들의 폐출 사건들이다. 세자빈으로 간택된 사람들이면 꽤 신중했지 않았을까. 그런데 그녀들이 압승술을 썼다, 동성애에 빠졌다라는 그래서 골칫덩어리였다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 그렇게 성의없이 세자빈을 간택했다고? 학문에 눈을 떴다는 이유로 그녀들을 방치(?)했기에 극한 상황으로 치닫지 않았을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 때문에, 100% 믿고 싶지는 않다.

이제 < 조선왕조 실록 >을 문종편을 읽고 있기에, 다른 왕비들의 이야기는 그저 남들이 견해로만 볼것 같아서 왕비님들이 이야기는 여기서 그만.. 그 책들을 읽어나가면서 여기서 읽은 왕비들의 치열했던 삶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