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문득, 내가 달라졌다 생각학교 클클문고
김이환 외 지음 / 생각학교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라면 피해갈 수 없는 성장통... 대체 어떻게 '나'를 사랑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10대들을 위한 단편소설집.

「가슴, 앓이(정해연)」, 「열네 살, 내 사랑 오드아이(조영주)」, 「소녀들의 여름(장아미)」, 「꿈 속을 달리다(정명섭)」, 「지아의 새로운 손(김이환)」 다섯편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자아를 찾아가는 사람들의 성장통은 꼭 10대만의 사정을 아닐듯 싶다.

특히나, 앞서 이야기 「가슴, 앓이」와 「열네 살, 내 사랑 오드아이」를 읽어보면서 주인공 아이들의 성장통이 눈에 들어오기 전에 그 주변의 못된 아이들이 시선을 끌었다. 그런데 책 속에서 뿐만이 아니라 어느 곳에나 사람들의 약점을 잡고 놀리거나 하는 아이들은 어디에서나 있었던 듯 싶다. 그것은 사람의 심리일까. 요즘에 이런일이 많다고는 하지만 예전에도 별다르지도 않았었던 것 같다. 그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지 않았을 뿐 예전에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자신의 신체에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어서 자꾸만 위축이 되는 선하(가슴, 앓이), 규리, 민기(열네 살, 내 사랑 오드아이). 사실 딸아이가 다섯살 즈음일까. 흑인과 머리가 긴 남자를 보고 눈을 떼지 못했던 적이 있었다. 다섯살 어린아이에게는 피부색이 다른 사람이라든지, 집사람들을 보더라도 여자는 머리가 길고, 남자는 머리가 짧은데, 머리가 긴 남자가 어색했을 수가 있다. 그때 세상에는 나와 다른 많은 사람들이 있다며 빤히 쳐다보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한적이 있었는데.. 물론 이것은 나는 교육을 정말 잘해라든지, 우리 아이는 절대 남의 약점을 공격하지 않아라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우리 개는 안 물어요'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아닐까. 선하와 규리, 민기가 성장통을 겪어야만 했던 이유는 컴플렉스라기 보다는 다른 이들의 편협한 시선때문이었을 것이다. 사회가 변해야 하고 어른들이 변해야만 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