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친코 1
이민진 지음, 이미정 옮김 / 문학사상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는 꽤 오랫동안 이 소설을 집필했다. 4대에 걸친 대서사시라고 하니.. 2권에만 담아내기가 너무나도 방대한 이야기가 아닐까도 생각된다. 아마도 소설은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나서 다시 주목받는것 같다. 게다가 한글 번역본 계약이 만료되서 출간이 안된다고(다른 출판사에서 계약했다고도 하는데) 중고서점에서도 책값이 꽤 뛰었었다. 원래 유행처럼 지나가는 책들을 잘 읽지 않는 편인데, 이웃님께서 읽으시는 걸 보고, 그냥 한번 읽어봐~ 하면서 엄청난 예약대기줄에 편승했었다. 1권을 읽은 느낌은... 왜 이 소설이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나서야 주목을 받았느냐가 참 아쉽다. 그냥 그 이야기 자체로도 꽤 흥미롭기도 한데 말이다.

드라마에서 소개될때도 책날개 부분에서도 모두 그녀는 "선자"라고 하는데, 정작 책 본문에서는 그녀를 "순자"라도 부른다. 작가가 한국계 1.5세대 미국작가이기도 하고 번역을 하면서 오류였을까. 어제 급하게 반납을 하다보니 제대로 알아보지 못했다. 찾아봐야겠다. 어쨌든 나는 순자로 읽었으니 순자로 표기하는게 맞을듯 싶다. 약간의 장애를 갖고 태어났던 아버지 훈이. 자식에게도 장애가 있을까 걱정했지만 위로 여러 아이들을 잃은 끝에 얻은 순자를 아버지 훈이는 매우 아꼈었다. 일제 강점기 마지막에 여인들에 지위를 생각해보면 자신감이 넘치는 인상을 받은 순자의 성품은 아마도 아버지에 기인했을 듯 싶다. 아버지 훈이가 장애였던 탓에 아무도 순자에게 혼담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가운데, 재일교포 사업가 한수를 만난다. 이때 순자는 열일곱이었고, 한수는 서른 넷이었다. 대번에 미친놈이란 욕부터 튀어나왔다. 뭐.. 한수의 사정을 이해해 볼 수도 있었겠지만... 더는 말 안하겠음... 순자는 임신을 했고, 한수의 아내가 되기를 기대했지만 그녀에게 일본에 아내와 세딸이 있어 결혼할 수는 없지만 뒤를 봐주겠다는 한수의 고백은...진짜로 멱살잡이 대신 해주고 싶었다. 오사카에 부목사로 일하러 가는 백이삭은 순자의 집에 머물렀다가 몸이 아파 몇달 신세를 진다. 자신을 따듯하게 보살펴주었던 순자 모녀에게 자신이 순자와 앞으로 태어날 아이에게 가족이 되어주겠다고 한다. 그렇게 순자는 이삭과 오사카로 떠나 일본에서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일제강점기 끝무렵에 일본에서의 조선인의 삶은 어땠을까. 그다지 녹록하지는 않았을 테다. 순자는 몰랐지만(물론 나도 몰랐다.) 순자가 그래도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한수가 조용히 그녀를 도왔기 때문인데 말이다. 등장인물들의 미묘한 감정은 아무래도 2권까지 읽어봐야 조금이나마 이해하지 않을까 싶다. 초반에 한수의 행동때문에 엄청 첫인상이 좋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묵묵히 순자의 가족들을 돌봐주는 것 보면 나름의 생각이 있는것 같기도 하고.. 어서 2권을 읽고 이 감정을 정리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