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어요 몰라요 그냥요 이금이 저학년동화
이금이 지음, 홍선주 그림 / 밤티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떠들거나 말썽을 피워 분위기를 해치는 아이들도 있겠지요. 그렇더라도 무조건 막기보다 아이들에게 먼저 배우고 깨우칠 수 있는 기회를 주는게 어른과 사회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p.74)

공교롭게도 오늘 읽은 책들에 모두 이 "노 키즈 존"이야기가 있다. 사실 나도 "노 키즈 존"에 대해서는 찬성이다. 나는 젊은날부터 식당에서 무분별로 아이들이 뛰어다니거나 공공장소에서 제지하지 않는 부모들을 좀 싫어했다. 그래서 내 아이가 어렸을 때는 그러지 못하도록 했다. 아이들은 어디서나 천진난만한게 좋지만 때와 장소를 가릴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키즈"란 말 앞에 "No"라는 말을 붙힌다는 것은 좀 부정적으로 보일수 있지만, 아이들에게 훈육하기 전에 어른들부터 인식을 바로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깜작 놀라면 근육이 굳어서 넘어지는 염소가 있는데 사람들은 그 염소를 '기절 염소'라고 부른다. 시우는 곤란한 상황에서 기절 염소를 흉내를 내었는데 그냥 무마되고 넘어가는 것을 보고, 잔꾀를 부리다가 염소로 변한 시우 이야기를 다룬 「기절 염소」, 싫어요, 몰라요, 그냥요 말만하는 몽순이를 엄마는 병원에 데리고 간다. 그리고 코끼리 선생님은 엄마에게 묘수를 가르쳐준다. 하지만 코끼리 선생님이 집에서 하는 방법은 별로 옳치 않아 보인다. 아이들의 마음을 알아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 「싫어요 몰라요 그냥요」, 엘리베이터의 각층을 다 누르며 장난치는 하늘이를 다룬 「열려라, 맘대로 층」, 빨간 돼지 저금통 꾸꾸를 소중하게 대하는 「누리는 꾸꾸 엄마」

얼마전 오리가족을 돌로 때려 죽인 10대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과연 그것이 그 아이들만 탓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잘못된 일이라고 타이르지 못한 어른들의 잘못이 아닐까. "노 키즈 존"이 생긴것도 아이들의 잘못이 아니라, 제대로 교육시키지 못한 어른들의 잘못이라고 본다. 이 동화를 보면서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눈다면 아이들의 마음도 알 수 있고, 또 어떤 일이 올바른 일인가 가르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