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아 가족 한국추리문학선 12
양시명 지음 / 책과나무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체적으로 어떤 묘사보다는 화자의 독백(?)으로 이루어진 이야기라고나 할까. 적절한 표현을 모르겠다. 아무튼 서술방식이 독특했다라고 말하고 싶다. "그들은 만나서는 안 될 가족이었다"라는 표지의 말, "하나의 구인 광고로부터 촉발된 범죄로 얽힌 가족의 불편한 생존기"라는 말때문에 요즘 뉴스에 연일 보도되는 보험 사기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음.. 역시 예측은 금물... 그런데 사실, 이 말들은 반어법이었을까. 만나서는 안될 가족도, 그리고 불편하나 생존기도 아닌것 만 같은데 말이다. 오히려 그들은 서로에게 위로가 되면서 리아를 중심으로 희망의 끈을 잡고 살아가는 이들처럼 보였는데 말이다.

첫 시작은 맞았다. 범죄로 탄생한 가족이었다. 아마도 모든 사람의 축복을 받으며 탄생했으면 좋았을 것을 그러면서도 꽤 불행한 삶을 살다가 결국엔 해체를 맞이하는 가족들도 많지만 리아의 가족은 그렇지는 않았다. 원치 않았던 임신으로 어린나이에 아이를 출산했던 리아. 그리고 그녀를 찾아온 아들 조. 수녀원 앞에 아이를 내버렸지만 지금은 몸이 불편했던 리아가 입주 도우미를 찾는 광고를 보고 찾아온 아들 조는 리아의 아픈 손가락이 되었다. 하지만 조는 어린 시절 거듭된 입양과 파양으로 누군가에게 버려진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헤어지자는 여자친구를 밀쳐 의도치 않게 살해하고선 리아의 남편에게 붙잡히면서 어렵사리 내뱉었던 '엄마'라는 말 때문에 리아는 새로운 인생의 변곡점을 맞이했는지도 모른다.

사실 리아를 중심으로 이 가족들은 삶을 투쟁적으로 살아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리아의 남편 문재식 형사인 것만 같다. 수녀원 앞에서 만났던 소녀.. 자신을 혹시라도 범했던 사람이 아니였을까 의심하고 도망가려는 리아를 끝까지 잡아주고, 그녀의 아이들도 받아주며 함께 했던 그가 있었기에 조의 아이까지 그래도 흔들림 없이 살아갈 수 있었던 것 같다. 물론 개개인의 응어리는 다 풀어지지 않을지언정, 그들이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살아가는 모습이 어느정도 수긍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