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개가 정말 싫어 - 어쩌다 집사가 되었지 말입니다
이푸른 지음, 남산 그림 / 틈새의시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절대로 반려동물은 안돼!! 라고 강경하던 사람들이 - 주로 아버지, 어머니 - 말이다. 이 책의 표현대로 비자발적인 집사가 되고나면 정말로 후폭풍은 무섭다. 정말 싫다는 사람들이 더 반려동물들 매력에 폭 빠져서 헤어날 줄을 모르게 된다. 그런 사진들이 그래서 인터넷상에는 많다. 아니나 다를까, 이 책의 비자발적 집사인 저자의 아버지 또한 정말 개가 싫었지만, 나중에는 "동배기가 배고파쩌요?"라는 이상한 나라의 목소리가 등장할 정도로 자발적인 집사로 변모하게 된다. 사실 우리집도 딸아이 때문에 햄스터를 키운적이 있는데, 할머니 할아버지가 무슨 쥐를 키우냐며 싫어하셨지만, 해바라기씨를 까먹는게 귀엽다고 너무 줘서 너무 살을 찌어 놓으셨던 적이...^^;; 그래서 햄스터의 건강을 위해 금지령을 내린적도 있었다.

사실 나는 강아지를 매우 좋아한다. 요즘에는 고양이도 좋아졌다. 은퇴를 하게 된다면 꼭 반려동물을 키우겠다고 다짐하는 편이다. 그런데, '정말로 동물들이 싫어' 하면서 정색을 하던 사람들이 집안에 동물들을 들이고 나면 얼마안가 180도 태도가 바뀌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할 따름이다. 비자발적인 집사 딸(저자)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쓴 이 이야기를 보다보면, 개가 정말 싫다라고 외치는 사람들은 실제 개를 싫어한다기 보다는 보는것은 좋은데 키우는 것은 싫어, 책임지는게 싫으니까.. 이런 정도였지 않을까.. 아마도 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언급조차 하지 않을테니 말이다. 언젠가 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개를 유기한다라는 말을 들은적이 있다. 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아예 키우려 들지 않을테니 버리지도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니, '개가 정말 싫다'는 말은 아마도 내재되어 있는 '나는 개를 좋아해'라는 뜻이 아닐까 싶다.

리트리버 "공실"이가 아파서 수술받아야 할때, 200여만원의 병원비에 고민하는 모습이 비쳤던 아빠에게 무척 서운했었지만, 공실이가 퇴원할때 아빠가 하루에도 몇번씩 찾아왔다는 간호사의 말에 서운함이 싹 사라졌다는 이야기를 보면 절대로 개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싶다. 이 식구들이 늘상 행복했으면 좋겠다. 나도 귀여운 강아지 가족을 맞이하는 그날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