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 학교 아이들 라임 청소년 문학 55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라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를 읽는 내내... 너무 성질이 나서...참을 수가 없었다.

우크라이나 태생의 스베트라나. 실업학교에 다니던 스베트라나는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독일 최고의 명문 기숙 학교 '에를렌호프 김나지움'으로 전학을 간다. 잘사는 아이들에 비해 스베트라나는 그리 형편이 넉넉치 못했다. 하지만 그래도 성실하게 노력하면 무엇이든 다 이룰수 있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처음 등교한 학교에서는 이유도 없이 따돌림을 당하고, 같은 반 아이들에게 은밀한 사이버 불링을 당하게 된다. 사이버불링은 사이버 공간에서 이메일이나 휴대폰, SNS 등을 활용해 특정 대상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다. 피해자의 정서를 황폐화 시키고, 심하면 극단적인 선택인 자살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역기능을 초래한다고 한다. 익히 이런 행동의 문제는 들어봤지만 그 용어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동조하고 싶지 않은 아이들도 어쩔 수 없이 함께 그 행위에 참여하게 되는 이유는 어쩌면 자신도 그런 행위의 대상이 될지도 모르는 두려움이 아닐까. 그저 자신들의 기분이 상한다고 일방적으로 행해지는 폭력이 얼마나 위험한 일을 초래할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이야기라 청소년들 뿐 아니라 어른들도 읽었으면 좋겠다.

첫 시작은 스베트라나가 자살을 하려 기찻길에 누워있는 것을 한 남자가 발견하여 극적으로 구해낸 신문기사이다. 스베트라나는 구조된후 소아 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해있다. 이 곳은 의사의 허락을 받지 않고는 방문할 수 없고, 손잡이가 없으면 문을 열수조차 없다. 창밖에 있는 창살을 보면 마음이 놓인다고 했다. 이런 곳이 있는줄 알았다면 그 누구도 자신에게 못된 장난을 칠 수 없는 이곳으로 일찌감치 오는건데..하는 스베트라나의 독백이 처음에는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녀가 겪은 일을 읽다보면 참으로 마음이 아프기만 하다. 왜 그녀가 병원을 더 안전하다 느끼며 사람을 두려워 해야 하는 것일까.

비데만 선생님이 인생이란 '앞으로'만 살 수 있다고 했다. 처음에는 그게 무쓴 뜻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나더러 뒤로 살라고 요구하지 않구하지 않았던가? 지난 몇 달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두 꺼내어 적어보라고 했으니까. 하지만 내가 글을 건넨 다음부터는 앞으로의 일에 대해 자주 이야기한다.(p.269)

정말 명의이신 비데만 선생님. 인생을 '앞으로'만 살 수 있다는 말이 너무 공감된다. 과거의 힘든일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앞으로 열심히 살아갈 수 있으면 참 좋을것 같다. 가끔 과거의 아픈 기억을 꺼내어 나를 괴롭히는 나를보고 하는 말 같다. 인생이란 '앞으로'만 살수 있다. 앞만 봐라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