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언덕 - 욕망이라는 이름의 경계선
장혜영 지음 / 예서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욕망이라는 이름의 경계선, 유리 언덕. 넘을수는 있지만 넘는 순간 유리여서 깨어져 상한다고 하는데. 욕망이라는 것을 모를때는 그저 유리일 뿐 언덕이 보이지 않는데, 욕망이 생기게 되면 유리언덕이 보이게 되며 그 유리언덕을 넘을것인가 말 것인가를 보고 고민을 하게 될 것이다. 사실 욕망은 인간의 본능이다. 하지만 누구나 자신의 욕망만을 쫓는다면 세상이 엉망이 되지 않을까. 그래서 사람들은 늘 욕망과 도덕적인 면에서 수많은 고민들을 하는 것 같다.

여기 첫눈에 반한 연인이 있다. 대학 문학강사 한태주와 대학원생 서다요. 하지만 다요는 아버지의 사업이 곤경에 빠지자 협력업체로 선정되어 회생하려 업체선정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백이사의 자폐증을 가진 아들과 강제로 약혼을 한 상태이다. 다요의 사촌동생이면서 태주의 제자인 혜진은 다요가 태주를 좋아하는 것을 눈치채고 적극적으로 다요가 정략결혼에서 빠져나오려 애쓰는 것을 돕는다. 태주도 다요를 사랑하는 만큼 다요가 처한 현실에서 빠져나와 사랑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지만 도덕군자같은 그는 갈등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외할머니는 태주의 짝이라며 정애를 데리고 올라와 태주에게 결혼할 것을 종용한다.

처음에 이 소설에 얽힌 이들의 이야기를 읽어나가면서 주말드라마에 나올 법한 소재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다. 자극적인 이야기로 시청자의 눈길을 머물게 하는 그런 이야기가 아닐까. 하지만 읽어나가면서 자신의 과도한 욕망에 앞서 다른 사람들의 불행이나 피해를 생각지 않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러면서 현실이 눈에 보이기도 했다. 요즘도 그러지 않던가. 나의 욕망을 위해 도덕적인 면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일들이 너무나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큰일이든 작은 일이든 자신의 욕망만을 위해서 질주하는 이들 때문에 눈살을 지푸린 경우가 한두번이 아니다. 더 문제는 태주처럼 유리언덕을 넘어서는 것에 대한 고뇌조차 하지 않고 당연한듯 자신을 비난하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화살을 돌리며 안하무인으로 구는 사람들도 있으며, 한 때, 유리언덕을 넘어섰다가 반성하며 죗값을 받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후자의 경우라면 그래도 다행이지만 전자의 경우의 사람들만 존재한다면 참 이세상은 너무나도 혼란스럽겠지. 살아가면서 항상 우리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 그 때마다 조금만 더 고뇌하며 올바른 길을 선택했으면 좋겠다. 함부로 유리언덕을 넘어서지 않도록. 험악한 세상이 되지 않도록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