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로 나온 미술관 - 길 위에서 만나는 예술
손영옥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전에는 나는 미술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다. 뭐, 내가 미술을 하는건 아니지만, 그림을 보기 위해 인사동 화랑을 찾는다든지(학창시절 숙제로는 해봤다), 전시회장을 찾는다든지 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거라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어느덧 나는 미술 작품들과 함께였더라. '길 위에서 만나는 예술'이라는 말처럼 어느새 살며시 예술품들은 거리로 나와 우리삶 속에 젖어들고 있었다. 그리고 보면 미술품이라는 것이 그리 어려운 것만은 아닌데 왜 그리 '미술'이라는 말 앞에서는 나도 모르게 경직이 되는 것일까.

이 책은 익숙한 곳에서 발견하는 낯선 아름다움(공공미술 이야기), 도심 안의 또 다른 예술(건축 이야기), 거리예술로 훔쳐보는 그 시절(역사 이야기), 관점을 바꾸고 경계를 허물다(새로운 공공미술)이라는 네파트의 주제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나는 세번째 파트인 '거리 예술로 훔쳐보는 그 시절'이야기가 꽤 재밌었다. 아마도 그동안 오랫동안 스쳐 지나오면서 동상이나 건물들을 어떤 예술혼이 담겨있다고 생각치 못했기에 다른 관점에서 서술된 이야기들이 꽤 흥미로웠는지 모르겠다. 특히나 여의도에 자리잡고 있는 국회의사당은 어느 책에선가 기둥은 어떤 의미가 있고, 돔은 어떻고 그렇게 들은것 같던데 의외의 이야기를 만나게 되었다. 내가 너무 이쪽 계통에 담을 쌓고 살았던 탓이었을까. 당시 내로라하는 건축가들이 참여했지만 모두 자신의 이름이 지워지기를 바라는 바람에 '건축가 없는' 건축물이 되었다고 한다.권력자의 입맛에 따라 시공 과정에서 애초에 없던 돔이 생기거나 총독부 건물보다 높아야 한다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5층으로 설계되었다가 6층으로 변경되는 등 신축된 그해 건축 전문지에서는 "국적 불명의 무대장치"라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건축물들이 누군가의 입맛에 따라 바뀌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예전에나 볼 수 있던 날림공사들이 현재도 어김없이 일어나며, 어처구니 없는 붕괴사고를 아직도 만나게 된다. 역시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책임 건축가 분들을 믿어 보아요~

이제 한걸음씩 거리로 나오는 예술품들은 더 이상 우리와 별개의 것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여전히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포스코센터의 "아마벨"은 10cm 높이도 안돼 보이는 제단에 있어서 뭔가 시민들과의 벽을 쌓는것 같다고 한다. 제단이 없다면 뭔가 하나됨을 느낄수 있을텐데 말이다. 반대로 광화문에 설치된 "해머링 맨"은 좋은 사례로 꼽는다. 건물쪽에 너무 붙어서 잘 보이지 않자, 흥국생명이 도로쪽으로 과감한 비용을 지불하고 5m를 이전했다고 한다. 사람들이 이 작품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고 칭찬한다. 책에 실린 책을 보고 문득 "해머링 맨"을 본 기억이 있다. 주무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주 광화문쪽을 나가는 것은 아니지만 꽤 재밌게 봤던 조각물이었다. 어느순간부터 미술품들은 거리로 나와 우리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 다만 그것을 느끼지 못했을 뿐이다. 이제 길을 걸을때면 좀 더 주의깊게 내가 말 걸기를 바라고 있는 예술품들과 눈맞춤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