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집 - 소설가의 상상력으로 실감나게 풀어낸 역사속 소문의 진상
홍지화 지음 / nobook(노북) / 2021년 12월
평점 :
참 흥미로운 책과 만났다. 한국의 역사인물 가상 인터뷰집이라니.. 역사를 배우는 이유 중 하나가 옛 현인들은 인생의 어려움을 맞닿아을때 어떤 지혜를 가지고 헤쳐나갔는지 그 지혜를 배우는 것이라고 들었었다. 그래서 가끔 어려운 일에 직면했을때 과거 그분들은 어떤 생각들을 할까 궁금해한적이 있었다. 그리고 예전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 갔을때, 그가 "단지동맹"을 맺을 무렵 어떠한 심정이었을까라는 생각에 눈시울이 붉어졌던 적이 있었다. 그렇게 여러 사람이 지키고자 했던 나라가 정말로 말도 안되는 일을 겪을 때마다 한탄을 했었던 것 같았는데, 그런 의미에서 이런 가상 인터뷰라는 주제는 무척 흥미롭게 다가왔다.
이 책은 이순신, 장영실 등 총 21분의 인터뷰를 담은 책이다. 각각 '나라와 백성을 위한 촛불이 되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영원한 2인자', '예(藝)와 애(愛)에 살다'의 세가지 주제로 나뉘어져 인터뷰를 진행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우장춘 박사의 이야기였다. 우장춘 박사라고 하면 씨없는 수박이 먼저 생각나는 분이다. 헌데 그 분의 아버지가 조선의 신분제에 불만을 품고 개화된 일본을 동경해 을미사변 때 급진개화파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명상황후의 시해 사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다. 상황이 여의치 않게 되자 아버지는 일본으로 도망쳤고, 일본 여자와 결혼하여 우장춘 박사를 낳았다고 한다. 어렸을 때 그 사실을 알고 꽤 충격이 컸지만 언젠가 아버지가 고국에 진 빚을 갚겠다고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고국에서는 역적의 아들이었고, 일본에서는 조센징이라고 비난받으며 어느 곳에서도 속하지 못했었지만 어릴적 다짐 그대로 고국에 돌아와 농업강국의 씨를 뿌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저 '씨없는 수박'을 개발한 사람으로만 말고 있었는데 이런 비화가 있을줄이야. 그런데, 씨없는 수박을 우장춘 박사가 개발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우장춘 박사의 < 종의 합성 >이라는 논문을 차용한 일본인 교수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실제로는 맛이 별로라 마케팅 쇼의 일환으로 선뵈였다고한다. 그래도 대단하다.
이 책은 가상으로 진행된 인터뷰라서 이순신 장군님의 인터뷰에서도 선조를 어떻게 평가하는 질문에 이승에서의 신분은 사라졌다고 하며 "선조는 정말 더럽게 무능하고 더기 없는 임금이었다" 말하지만 언뜻 생각하면 이순신 장군님의 성품상으로는 절대로 자신의 군주를 펌훼하지는 않을거라 생각된다.
실제로 만날수 없는 분들이지만 그분들과의 수다가 꽤 유쾌하게 만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