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관 - 국내 최초 군대폭력 테마소설집
윤자영 외 지음 / 북오션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 최초 군대폭력 테마소설집

윤자영 작가의 「살인 트리거」, 박해로 작가의 「고문관」, 문화류씨 작가의 「불청객이 올 무렵」, 정명섭 작가의 「사라진 수첩」의 네작품이 실려 있는 이 책 < 고문관 >은 읽으면서 정말 군대의 모습이 이런 모습이라면 어쩌나 걱정이 되었다. 좀 과장된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공대를 나와서 남자 동기들이 많았었던 탓에 군대를 간다고, 휴가를 나왔다고, 제대를 한다고 수시로 들었기에 군대라는 것에 그렇게 크게 생각치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몇해 전, 군대 장교였던 아들을 잃은 분을 만났다. 남편도 군인출신이어서 군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셨는데, 큰 아들을 군대에서 잃고(군의문사) 둘째 아들을 정말로 군에 보내고 싶지 않다고 어찌 보내냐고 한탄하시는 것을 보고 군인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군대를 가는 친구들에게 좀 더 대우해주고, 환경도 좋게 해주었으면 했다. 아들이 없기 때문에 군대 보내는 부모의 마음은 평생 알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거리에서 군복입은 친구들을 보면 애처로운 맘이 들기도 했는데, 이 소설을 읽다보니 짠한 마음이 가시질 않는다.

왜 사람들은 단체 생활을 하면 서열을 정하고, 폭력을 대물림하는 것일까. 사람들마다 행동에 느림이 있을수도 빠를 수도 있는 것이고, 물론 단체 생활에서 행동이 더딘다는 것은 좀 짜증날일이지만 그것이 정당화 되어서는 안될 것 같은데 말이다. "너 같은 놈 때문에 군대에서 폭력이 없어지지 않고 이런 사고가 벌어지는 거야. 반성하는 대신 감추고 속이려고 하니까 말이야"(p.352) 말로만 미안하다라는 사과가 아니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반성과 사과를 한다면 병영문화도 좀 개선되지 않을까. 꼭 군대에서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곳에서도 그런 폐해가 없어지지 않을까. 이런 이야기들을 소설속 이야기에서만 등장했으면 좋겠다. 절대로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박해로 작가님의 섭주 사랑을 끝이 없다. 이번 이야기 「고문관」에서도 섭주가 등장한다. 이제 박해로 작가님의 이야기를 읽을때면 어느 책과 연결이 되나하고 생각하면서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