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
디파 아나파라 지음, 한정아 옮김 / 북로드 / 2021년 11월
평점 :
절판
2021년 에드거 상 수상작.
작가 디파 아나파라의 데뷔작으로 뭄바이와 델리 등에서 저널리스트로 일하던 당시의 경험과 인도에서 나고 자란 기억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자신의 경험이 녹아나고 있기 때문에 현실감 있게 씌어진것이 아닌가도 싶다.
같은 학교를 다니던 바하두르가 실종되었다. 아무리 빈민가이고 부모는 돈벌기에 급급했다고는 하지만(물론 아버지는 술주정뱅이) 어떻게 아이가 없어졌는지 며칠이 되도록 인식하지 못했을까. 경찰들은 아이들의 실종신고를 무시했고, 오히려 이 빈민가를 불도저로 쓸어버리겠다고 한다. 자이는 평소 "경찰 순찰대"나 "범죄의 도시"를 즐겨보는 편이다. 마을을 지키기 위해 아동 연속 실종사건을 해결하기로 맘 먹는다. 단짝친구인 파리와 파이즈와 의기투합하여 탐정단을 꾸리고 자신이 주도를 하려고 했지만 어째 파리에게 자꾸만 밀리는 형세다. 계속해서 아이들이 실종되는 가운데 자이의 누나 루누도 실종되게 된다.
책을 읽다보니 카스트라는 인도의 계급 제도도 떠오르고 (현재도 그렇게 심하게 나누고 있는지는 잘 모르지만), 간간히 전해지는 범죄기사도 생각이 났다. 그리고 예전에 읽었던 < 넌 네가 얼마나 행복한 아이인지 아니 >라는 책도 떠올랐다. 미처 보호받지 못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일어나는 범죄들. 왜 우리는 아이들이 피해자가 되지 않게 외출을 단속해야만 하는가. 맘놓고 생활할 수 있는 그런 세상을 만들어 주지 못하는 현실이 참 씁쓸하게만 다가온다.
작가의 말중에 보면 현재도 하루에 180명이나 되는 어린이가 실종되고 있다고 한다. 유괴범이 체포되거나 혹은 잔혹한 범행이 세간에 알려져야만 비로소 뉴스에 나온다고 한다. 빈민가에서 신고된 일을 가볍게 묵살해버리는 경찰들도 보면 그 말을 이해할 수도 있다. 작가는 "그 아이들이 통계수치로 전락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맞서기 위해서 이 소설을 썼다. 숫자 뒤에 숨겨진 그 아이들의 얼굴을 기억하기 위해서 이 책을 썼다(p.413, 414)"고 밝히고 있다. 다른 나라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연일 아이들을 학대하는 일에 대해서 분개해도 여전히 그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사건이 일어날 때만 분개하는 것이 아니고 적극적으로 우리가 지켜보는게 중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