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더스의 덫
김명조 지음 / 문이당 / 2021년 9월
평점 :
< 국제투명성기구 >에서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가 OECD 국가 중에서 30위라고 발표했다. OECD 국가는 37개국이다. 그야말로 하위권에 속하는 구나. 작금의 상황을 보더라도 당연한 결과가 아닐까. 그 어디를 봐도 우리나라가 청렴해 보이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같은 소시민들은 살아남으려고 애를 쓴다. 어디선가 그래도 간간히 들려오는 미담을 위안 삼으면서 말이다...
저자는 검찰청, 법원, 대법원 등에서 재직한 이력과 더불어 3년동안 수많은 자료 조사와 취재를 통해 이 작품을 완성했다고 한다. 그래서 더 사실감 있게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수 있었다.
서울 강력계 형사로 근무하던 유진하 경위는 상관의 부당한 지시에 불응하다 영포 경찰서로 좌천을 당한다. 부임 다음날, 살인사건이 한건 배정이 되었는데, 인근 마을 주민인 장기호로 밝혀진다. 하지만 그의 죽음을 알리는데도 석연치 않은 아내, 그리고 밝혀지는 딸을 상대로 한 인면수심의 행동들. 그냥 못된놈 하나 죽은건데, 그냥 덮어버리면 안되나, 누군지 잘 죽였다라고 생각하려는 찰나 용의자였던 이가 자살한 채 발견된다. 그리고 서둘러서 사건은 종결되었지만 진하는 무언가 미심쩍음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사건을 더 조사해보기로 한다.
가끔 우리 사회를 보면 참 한심함을 느끼기도 한다. 때론 그래서 내가 나설 것도 아니고 그냥 난 내 위치서 내 일을 하며 살아가자라고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허탈감이 드는 경우도 많다. 만약 그런 억울한 일을 당한 당사자가 된다면 더이상은 나아갈 수 없는 유리벽에 막힌 현실에 얼마나 좌절감만 들 것인가. 그럴때 유진하 같은 형사처럼 끝까지 사건을 해결해주는 이가 있다면 머리카락으로 짚신을 삼아드린다라는 심정일것 같다.
누구나 마찬가지겠지만 청렴한 사회에서 살고 싶다. 나의 환경과는 상관없이 오로지 나로서만 인정받는 그런 사회에서 살고 싶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를 비롯 세상은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출발선 위에 있다. 그리고 처음부터 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악행을 저지를거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없을테다. 누구든 초심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내 이익만을 위해서 남이야 어찌되든 나몰라라 하는 사람들도 없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나도 내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