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모의 기술 - 탈모와의 전쟁에서 반드시 이기는 최강의 발모법
이해민 지음 / 서촌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스트레스에 극했을때, 아닌가 머리가 많이 빠져서 더 스트레스가 쌓였을까. 아마도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를 따지는 것과 같은 일일런지도 모른다. 나는 어렸을 적에 머리숱도 많을뿐더러 모발이 매우 굵어서 어지간한 핀으로는 묶기가 어려웠었다. 그런데, 지금은 풀렀을때 부해 보여서 그렇지 한줌에 쏙 들어갈 정도로 숱도 줄고, 모발도 매우 가늘어졌다. 매일 머리를 감으니 많이 빠지는 것 같아 이틀에 한번 감아도 봤었는데, 이틀치가 한꺼번에 빠지는 듯했다. 그래서 이제는 잊고 살고는 있다. 그렇게 빠지는 데도 대머리가 안되는 것을 보면 신기하다 하면서, 그냥 철따라 나도 털갈이를 하는 것이 아닐까라며 생각하기도 한다.

저자는 '탈모'와 '발모'의 정확한 구분부터 알고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탈모는 과도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때 두뇌가 과열되면서 두피에 열이 과하게 몰려 발모력이 퇴화되고 머리카락이 빠지는 현상이다.(p.39) 아마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전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스트레스의 영향이 더 큰것인가 보다. 예전에는 유전이라고 해도 납득이 되었지만 현대 시대에서는 그보다는 과도한 스트레스 때문이라는 사실이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막는 것이 탈모 치료이며, 탈모인의 퇴화된 탈모 부위에서 머리카락이 나는 것이 발모인 것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정보를 얻어야 한다.

나도 겪어봐서 알지만 머리가 빠진다는 것은 엄청난 스트레스이다. 다시 발모될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면 그 스트레스가 좀 줄어들지 않을까. 괘학법칙들과 더불어 탈모와 발모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이 꽤 유익한 내용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