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지내요
시그리드 누네즈 지음, 정소영 옮김 / 엘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어떻게 지내요 >

이 책 제목을 쓸때마다 사람들은 말한다. 어떻게 지내냐구 묻는줄 알았다고.. 나는 내 주변의 사람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고 살고 있는지..벌써 2년전, 모르고 지내던 시절보다도 알고 지낸 시절이 이제는 더 길어진 친구들을 친구 아버지 장례식장에서 만났다. 20살 시절 만났던 친구들인데 이제는 마흔을 넘겨버린 친구들.. 나는 넘어져서 무릎을 다쳤던 터라 무릎을 굽히는게 힘들었고, 한 친구는 스탠스 시술을 받았고, 그러면서 하나둘 누가 더 아팠나 배틀을 하듯 털어놓았다. 사는게 바빠서 어떻게 지내는 줄도 몰랐던 친구들.. 그냥 무소식이 희소식이라 생각하고 살았는데 한번쯤은 "어떻게 지내"라고 물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날 암말기 진단을 받은 친구에게서 연락을 받고 병문안을 나선다. 그런데 친구가 불쑥 내민 뜻밖의 제안. 안락사 약을 구했고, 어딘가 조용한 곳에서 끝을 맞으려고 하는데 함께 해달라고 한다. 만약 내가 이런 제안을 받는다면 과연 승락할 수 있을까. 만약 내가 시한부를 선고받았을때면 치료를 받으며 병원에서 마지막을 맞이하고 싶지는 않다. 마지막까지 내가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하면서 보내고 싶을 것 같다. 하지만 제안을 받는 입장이라면 처음에는 많이 울겠지. 친구 앞이 아니더라도 어디선가 혼자서 슬픔을 삼키지 않을까. 그리고 마지막까지 무덤덤하게 함께 할수는 없을것 같다. 아무래도 나는 거절을 해야할 것만 같다.

세상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고 했다. 고통받는 사람을 보면서 내게도 저런 일이 일어날 수 있어, 생각하는 사람과 내게는 절대 저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거야, 생각하는 사람. 첫 번째 유형의 사람들 덕분에 우리는 견디며 살고, 두 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삶을 지옥으로 만든다.(p.167)

어찌보면 나는 전자의 경우인 것만 같다. 어린시절에는 금방 욱하기도 하고 감정의 기복이 심했는데, 나이가 들면서 유해지거나 생각을 깊게 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나로 인해 견디며 살 수 있다면 다행일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은 나한테는 그리 녹록치 않았다. 분명 소설이라 들었는데 하면서 앞을 다시 보기도 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어쩌면 한층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내게 준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