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는 사람
정호승 지음 / 비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시집을 읽을때마다 하는 이야기가 있다. 나는 정말 시를 모른다. 어떻게 읽어야 할지 어떤 감정을 느껴야 할지 잘 모른다이다. 그야말로 시집을 읽으면 말 그대로 글자 그대로만 읽을 뿐이다. 그래서 시집에는 선뜻 손이 가지 않는 편이다. 그러니 더더군다나 50년 가까이 사랑 받아온 정호승 시인의 대표 시선집을 손에 들고 있어도 마치 개발에 편자를 댄 것처럼 어울리지 않으면 어쩌나 했다. 하지만 그 걱정이 무색할 정도로 이 시선집은 무난히 읽을 수 있었으니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른다. 그리고 이 책 마지막의 해설은 아직 읽지 않았다. 시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그냥 내가 느낀대로 리뷰를 적고 싶었다. 가뜩이나 시를 어려워 하는데, 다른 이들의 해설을 읽으면 그나마 느낀 - 대단하지는 않지만 - 내 감정들이, 마치 학창시절 이 시에서는 꼭 그리 느껴야만 하는 것처럼 강요받는 것 같아서라고 핑계를 좀 대본다.


1973년 등단해 사랑받아온 정호승 시인의 시인의 대표작 275을 엮은 시집이다. 총 7부로 나뉘어서 시를 실었는데, 1, 2부를 읽을 때는 마치 역사책을 읽는 느낌이 들었다. 읽다보면 말로만 들었던, 혹은 옛 서울역앞 풍경이든 머리속에 그려진다. 특히나 「어느 어머니의 편지」에서는 독재에 맞섰던 아들을 떠나 보내고 그를 그리워하는 애틋한 모정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아마도 내게도 아이가 없었더라면 이해하지 못했을 그런 애틋함을 말이다.


올해도 수유리에 백목련은 피는데

아들아 주열아 내 새끼야

서러운 네 무덤가에도 봄은 오느냐

4월의 푸른 땅 푸른 하늘 위로

혁명처럼 봄은 또 오고 있느냐

「어느 어머니의 편지」 中


너무나도 좋은 시들을 읽어나가다가 「폭풍」이라는 시에 이르렀을 때는 리뷰에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언제나 평탄하지만은 않다. 더더군다나 오늘과 같은 펜더믹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는 말이다. 그나마 나는 좀 사정이 좋은 편에 속하기는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난감한 일이 있기도 하다. 그런 나에게 용기를 잃지 말라고 다그치는 시 같다.


폭풍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일은 옳지 않다

폭풍을 두려워하며

폭풍을 바라보는 일은 더욱 옳지 않다

「폭풍」 中


아마도 시라는 것은 억지로 읽으려 하면 그저 흰종이 위에 씌어진 검은 글씨일뿐일테다. 시집을 읽으면서 이렇게 뿌듯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뭔가 하나는 이해하고 마음에 새겨야 한다는 숙제같은 맘으로 읽어서였을까. `그래도 이 두툼한 50여년의 시인의 노고가 담긴 시집을 읽고 마음에 와닿은 시가 있다는 것이 내 스스로가 너무 만족감이 들어 감상을 적는 지금의 내 손이 참 가벼워 뿌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