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는 흰 캐딜락을 타고 온다
추정경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8월
평점 :
< 내 이름은 망고 >, < 검은 개 >에 이어 저자의 세번째 작품을 만났다. 앞선 두 작품을 참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에 저자의 이름만으로도 벌써부터 기대가 되었다. 이 < 그는 흰 캐딜락을 타고 온다 >는 누아르와 SF가 결합된 장르 소설이다. 내가 읽었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 책 또한 가독성은 정말로 끝내준다.
강원도 정선 인근. 도박에 가진 돈을 탕진한 이들이, 자신들이 가지고 왔던 시계, 옷, 자동차등을 전당사에 맡기고 그 밑천으로 또 도박을 일삼든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일상 속에 기면증을 앓고 있는 소년 '진'이 있다. 갑자기 발병한 기면증 탓에 학업도 다 마치지 못했고 캐딜락 전당사의 성사장의 밑에서 전당사 일을 돕고 있다. 스페어키를 가지고 두군데 전당사에 차를 팔려던 남자때문에 황금 전당사에서 일하는 진규에 쫓기다가 시간의 공간을 뛰어넘었다. 어찌된일인지 모르는 진은 당황스럽기만 하다.
SF가 결합된 소설인만큼 여기 등장하는 인물들 다수는 공간의 포트를 열 수 있다. 각자 실력들이 다르고 또 시간이 지나면서 소멸되기도 하지만 또 '진'처럼 자신의 능력을 전혀 모른채 살아가기도 한다. 그러나 숨길수 없는법. 자꾸만 누르려 해도 불식간에 터져나오는 것은 어쩔수 없다. 그야말로 축지법처럼 공간을 타고 넘어간다는 것은 꽤 흥미로운 발상이다. 그러나, 이것이 만약에 범죄에 쓰여지게 된다면 이제부터 머리가 아파오지 않을까."어차피 능력이 아니라 저주였어."라는 말이 모든 것을 대변해주는 것 같다. 아픈 딸아이의 장기이식을 위해(하필 심장이라니) 범죄조직에 가담했던 심경장. 하지만 그는 이용만 당하고 딸과 아내까지 가족 전부를 잃었다. 그리고 오직 복수만을 하기 위해 돌아왔다. 원래부터 같은 능력이 있었던 이였는지, 진을 아끼고 지키는 성사장.
'누아르'라는 말에 예전 홍콩영화가 생각이 난다. 어릴적 홍콩영화가 대세기도 했고, 홍콩배우를 좋아하는 친구때문에 자주 보러가기도 했다. 그때 생각했던 것이 "저렇게 길거리에서 총격전이 가능하기는 해?"라는 것이다. 영화 '도둑들'을 볼때도 우리나라 도심 한복판에서 총격전을 한다고라는 생각은 머리속에서 떠나지는 않았지만, 이 이야기가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그런 생각은 접을수 있을것이다. 어차피 이런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없을테니까. 이야기를 읽으며 흠뻑 빠져 있었던 것처럼 영화화 된다해도 시간가는줄 모르고 볼것 같다. 그리고 누가 흰 캐딜락을 타고 오는지는 확인해봐야 하지 않을까. 흰 캐딜락을 타고 온 그의 정체를 아는순간 뭉클함을 또 어쩌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