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 - 치료감호소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정신질환과 범죄 이야기
차승민 지음 / 아몬드 / 2021년 7월
평점 :
치료감호형이라고 하면 단순히 교도소에서 치료 받으면 보호를 받는 것인줄만 알았다. 그런데, 치료감호형을 받게 되면 치료감호소, 즉, 국립 법무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치료받고 있는 사람들은 정신질환자 이면서 범죄자이다. 그래서 제목에 어느정도 공감을 할수 있다. 무섭기도 하면서 또 한편으로 애처롭기도 하니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환자들이 그렇게 애처로와 보이지는 않는다. 물론,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이도 있겠지만, 치료를 꾸준히 받았다면 범죄를 저지르지도 않았을테고, 피해자도 생기지 않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예전부터 우리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을 "미쳤다"라 치부하면서 상대하지 말거나 오히려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왔던 것 같다. 그리고 정신과 진료 이력이 남는 것을 두려워해 보험처리를 하지 않거나 꺼리기도 했었다. 그래서,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아야 할 정도로 일을 키우기도 했던것 같다. 적극 치료를 한다면, 그들의 더 큰 사고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이는 정신질환자들을 잠재적인 범죄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블루 시대에 사는 우리들에게 예고없이 찾아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옹호하자는 것도 아니다. 한때, 우리를 경악하게 했던 사건들의 가해자들의 불우했던 어린 시절의 영향으로 문제가 생겼고, 제대로된 치료가 병행되지 않았기에 범죄로 이어진 경우들도 있다. 하지만, 불우했던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해서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바르게 자라는 사람들도 있다. 죄를 지었으면 그에 상응한 벌을 받는게 당연한 것일테다. 하지만 정신적 질환으로 인해 자신이 저지른 일에 명확한 인식이 없다면 피해자들에게 제대로 된 사죄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
사실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 정신이든 몸이든 아프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겠는가. 이 치료감호소에 있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에 대해 질환을 인정받아 감형해줘야 한다는 입장은 아니지만, 만약 정신과적 문제가 있다면(다른 질병도 마찬가지겠지만) 적절한 치료로 사회에서 격리한다기 보다 복귀할 수 있도록 해줘야 싶을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