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하지 않는 도시 - 세상 모든 사랑은 실루엣이 없다
신경진 지음 / 마음서재 / 2021년 7월
평점 :
"결혼은 사랑과는 또 다른 영역이라 생각합니다. 흔히들 두 대상을 동일한 것으로 착각하고 있죠. 사랑의 종착점이 결혼이라고 여기는 생각 말이에요. 하지만 결혼은 연애와 달리 관습과 제도의 문제를 동반합니다. 반면, 사랑이 결혼의 필수 조건이 된 것은 얼마 안된 일이에요. 과거에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남녀의 사랑이 필요하지 않았거든요. 어쩌면 현재의 결혼은 근대 낭만주의의 욕망이 만들어낸 사생아일지도 모르겠네요.(p.263)"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느꼈던 점을 작가는 태영의 입을 빌어 말하고 있다. 그래서, 하욱과 영임의 이야기부터 한나의 이야기까지 우리는 "결혼"이라는 것이 어떻게 그 의미가 변해왔는지 알수 있다. 과거(아주 오랜 옛날)에도 사랑해서 결혼한다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대부분은 얼굴도 보지 않고 어른이 정해주는 그런 결혼을 했다. 혼맥은 세력의 결집일테다. 현대로 넘어오면서도 아직까지도 마치 자유연애를 표방하면서 그런 결집을 하고 있지 않을까. 사실 내가 조금 더 젊었을때도 사랑의 종착점은 바로 결혼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세상도 변했다. 그렇다고 결혼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결혼이라는 것은 좀 더 책임과 의무가 따르지 않나라는 생각도 해본다. 어쨰 정리가 묘하다.
영임과 하욱은 결혼이라는 틀에서 완벽한 모습을 꿈꿨다. 사랑이 들해도 상관은 없었을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에게 아이는 찾아오지 않았다. 그래서, 하욱의 쌍둥이 형의 아이들 중 막내를 입양했다. 예전에는 이런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들었다. 하지만, 영임이 임신을 하게된다. 그들에게 입양된 조카 태윤의 입지가 참 곤란하게 되어 버렸다. 그래서, 그녀의 방황은 시작되었을까. 어른들의 결정에 아무런 의견도 제시하지 못했던 태윤. 태윤을 바라볼때 지금의 보호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오버랩되기도 한다.
한나의 사랑은 등장인물 중에 가장 진화하는 사랑의 모습을 보여준다. 더군다나 서로의 신뢰나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태도도 가장 성숙해 보인다. 결혼이라는 틀에 매이지 않고, 그리고 새로운 가족의 형태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사회로의 변화를 잘 표현한 소설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