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에서 헤엄치기
토마시 예드로프스키 지음, 백지민 옮김 / 푸른숲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둠 속에서 헤엄치는 기분이란 어떤 것일까. 책 표지는 그냥 밝은 낮 같지만, 만약 칠흑같은 어둠이었다면 말이다. 사실 나는 수영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낮이든 밤이든 간에 엄청난 공포를 느꼈을것 같다. 하지만 느꼈다는 것뿐이지 그 공포감이 어떤 수준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뭔가 방향도 모를뿐더러 아무리 허우적 거려도 더이상 나아갈 수 없는 그런 난감한 상황이 아닐까 싶다.

이 이야기는 1980년대 사회주의 체제하의 폴란드를 배경으로 한 퀴어 로맨스 소설이다. 첫시작은 루드비크가 미국에서 조국 폴란드에 게엄령이 내려졌다는 소식을 듣게 되면서부터이다. 그러면서 꼭 네가 읽어주기를 바라는지 잘 모르면서 글을 써내려간다. 루드비크는 대학교 마지막 학기를 마치고 농촌활동에 참가했다가 야누시를 만난다. 그리고 더이상 감출수 없었던 감정을 그에게서 느끼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동성애에 대한 나의 입장은 무엇인가라는 것이 계속에서 머리 한켠을 자리잡고 있었다. 사실 지금도 동성애라는 것이 그리 자연스레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고운 시선으로 바라보지는 않는것 같다. 더군다나 루드비크는 1980년대 사회주의 체제에 살고 있었기에 뭔가 지금보다 제약이 심했던 것 같다. 여권을 만들러 간 그에게 은근한 문제가 되는 것만으로 봐도 짐작할 수가 있다. 동성애라는 것이 어떤 범죄인마냥 취급을 당할 것은 아닌데 말이다.

여고를 다니던 시절 컷트 머리를 했던 보이시한 선배를 좋아했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땐 나만이 아니라 몇몇 아이들이 함께 그야말로 오두방정을 떨었던 것을 보면 여학생들만 모인 학교에서 그냥 지금의 아이돌을 좋아하는 마음이었지, 동성에 대한 애틋함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본다. 그래서 거리낌 없었던 그때와는 달리 드러낼수 없는 루드비크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가 너무나도 애처롭게 느껴진다. 어쩔수 없는 루드비크와 야누시의 선택이었겠지만, 너를 마음에서 지워버린체하는 것도 그만두겠다. 묵살해도 지워지지 않는 것들이 있으니까(p.12)라는 서두부분의 그의 속내가 드러난 부분이 이제는 어둠 속에서 헤엄치는 걸 그만두고자 마음먹은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처음에는 무심결에 지나쳤던 이 문장이 이제서야 이해가 될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