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 바랑 속의 동화 - 법정 스님에서 수불 스님까지 고승 14분의 뭇 생명 이야기
정찬주 지음, 정윤경 그림 / 다연(도서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랑, 승려가 등에 지고 다니는 자루 모양의 큰 주머니란다. 음... 그것을 바랑이라고 하는 구나.. 이 이야기는 법정 스님에서 수불 스님까지 큰스님 열네 분의 자비와 사랑, 지혜에 관한 명상동화이다. 제목에 "동화"라는 말때문에 어린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 생각했다. 하지만 읽다보니, 사실 요즘 책의 경계가 어디있겠는가. 누구에게나 어울리는 이야기이면서 따스해지는 그런 이야기이다.


특히 눈길을 끌었던 이야기 중의 하나가, 절의 풍경에 얽힌 이야기이다. 어느 암자에서 수행을 하는 한 제자가 강가에서 물고기를 낚고 있어 꾸지람을 듣게 되었단다. 살생을 하지말라 꾸짖는 스님에게 자신은 물고기를 잡았다가 다시 놓아주고 있다고 변명했다. 이후 그 제자는 몹쓸병에 걸려 죽음을 맞이해서 스님이 물고기 밥이라도 되어 잘못을 빌라는 뜻으로 강물에 뿌려 주었는데, 등에 나무를 진 물고기로 다시 태어나 고통을 받고 있었다. 스님의 꿈에 나타난 제자는 자신이 죽어있을테니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 부처님 앞에 매달아 달라 부탁을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졌다. 실은 이 이야기보다는 풍경에 대한 다른 이야기, 처마 끝에 물고기 모양의 풍경을 매달아 밤중에 산새들이 날아와 절 건물에 부딪힐까봐 미리 소리를 내어 예방하기 위해서라는 것에 더 믿음이 가긴 한다. 하지만 어떠랴. 비록 물고기를 놓아주기는 하지만 낚을때 물고기의 아픔도 있을텐데 더군다나 수행한다는 사람의 행동으로서 옳지 않을뿐더러 혹은 자연속에 어우러진 절이기니 하지만 산속에 사는 새들에게 위험한 건물일수도 있으니 이렇게나 저렇게나 생명을 가진 것들에 대한 자비심을 느낄수 있지 않을까.


사실 많은 종교 중에서 작은 미물이라도 생명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것은 불교인 것 같다. 글쎄, 변덕이 심한 나로서는 다른 책을 읽으면 또 다른 생각이 들려나, 하지만 마음이 참 따듯해지는 그런 책을 만난것 같아 너무나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