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스의 과학수사 - 홈스의 시선이 머무는 현장에는 과학이 따라온다
스튜어트 로스 지음, 박지웅 옮김 / 하이픈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의 장르소설 좋아하는 사람 치고, 셜록 홈스를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까 싶다. 나도 어린시절 집에 있는 책보다 친구집에 있었던 셜록홈스 단펴집에 빠져서 줄기차게 드나들었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내 인생 첫 탐정이 아니었을까 싶다. 아직도 우리는 코난도일의 셜록 홈스와 왓슨을 사랑한다. 여전히 홈스와 왓슨의 콤비르 모티브로 하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고, 또 그런 이야기들은 장르소설을 좋아하는 이들을 열광케한다. 그렇게 정신없이 읽었던 홈스의 이야기가 왜 도통 기억이 나질 않는지 의문일 따름이다. 이렇때 뭐다, 다시 읽으면 된다!!


아마도 셜록홈스의 관찰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아마도 코난 도일 자신이 의사출신이었기 때문에 그의 지식이 고스란히 반영되었기에 현재의 과학수사에 버금가는 홈스를 만들어냈고, 많은 이들이 여전히 그를 사랑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이야기는 홈스의 추리의 기반이 되는 방대한 지식과 더불어 지금의 법과학에 버금가는 그의 수사력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홈스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해주는 그런 책이다.


19세기 무렵의 홈스도 과학수사를 하는데, 왜 현실에서는 그러지 못하는지 참 씁쓸함은 한편으로 느꼈었다. 물론, 지금의 많은 과학기술 발전으로 당시의 코난도일이 미처 몰랐던 기술로 오래전 범인을 다시 잡기도 하지만, 어쩌면 지금 세상에 홈스가 있다면 미제로 남는 사건들이 없지 않을까 생각했다. 직접적인 유전자 검사가 아닌 유전자를 통해 가계혈통을 통해 해외입양아가 자신의 아버지를 찾았다는 이야기를 보았다. 또한 이런 기법을 통해 아주 오래된 연쇄 살인범을 잡았다는 이야기를 접하고 보면 홈스의 관찰력과 추리력, 해박한 지식으로 현재의 사건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날개를 달아줄텐데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물론 홈스의 과학수사가 100%의 정확하지는 않다. 어찌 보면 무리한 일반화도 있을 수 있겠지만, 그래도 오랜 세월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현재의 과학수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가 없는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