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괄량이 길들이기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정유선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의 5대 희극 중 하나로, 말괄량이 카타리나가 페트루치오를 만나 길들여져가는 과정을 담은 작품.

아마도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제대로 읽어본 사람은 없을 것 같다. 나만 그런가? 사실 이 말괄량이 길들이기도 자세하게는 알지 못한다. 이번 기회에 읽어볼 수 있어서 아주 좋았는데, 내용은... 음... 아마도 이게 시대가 다르니 "길들인다"라는 개념이 이렇게 불편한 말이었나도 싶고, 어쩌면 시대적 차이겠거니 당시 여성의 지위가 얼마나 낮았나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무료함에 빠진 영주가 술에 취한 슬라이를 발견하고 그를 놀려먹을 계획을 세운다.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그 계획중에 하나인 연극이 된다. 이 이야기는 희극 대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희극대본을 처음 읽어서 처음에는 어색한 감이 있었지만 그런데로 괜찮았던 것 같다. 밥티스타에게는 혼기가 찬 두 딸이 있었는데, 둘째딸 비앙카는 상냥하고 온순해서 구혼자가 넘쳐나는 반면, 큰 딸 카타리나는 성격이 거칠고 난폭하여 구혼자가 없다. 그러면 작은딸부터 결혼시키면 될 것을 아무래도 당시는 철저하게 순서대로 결혼시켜야 했나보다. 비앙카를 사랑하는 이들이 적극 나서서 카타리나의 짝을 찾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인다. 말괄량이란 '말이나 행동이 얌전하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여자'를 일컫는 말이다. 좀 의외네. 내가 알고 있는 말괄량이랑은 거리가 멀다. 그럼 혹시 말이나 행동이 얌전하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남자는 무어라고 하나. 그런 사람들도 길들여야 하나 싶다.


솔직히 예전부터 고전은 지금과 인식이 다른 부분이 있어서 읽기 거북한 점이 없지 않아 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그만큼 여성의 지위가 많이 상승했다는 안도감이 있다. 결코 여성이란 남편에게 순종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그 때 여성들의 지위란 그저 남편의 엉뚱한 말에도 순종적이어야만 했다는 그리고 이런 이야기가 버젓이 소재가 될수도 있는 그런 시대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의 시대가 오기까지 많은 여성들의 노력이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 말이다. 이 시대에 살고 있어서 너무나도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