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티 오브 걸스 - 강렬하고 관능적인, 결국엔 거대한 사랑 이야기
엘리자베스 길버트 지음, 아리(임현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월
평점 :
2010년 뉴욕, "엄마도 돌아가셨으니 이제 당신이 아버지에게 어떤 분이었는지 편하게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라는 안젤라의 편지. 89세 노인이 된 비비안은 1940년 여름 19살이던 시절로 돌아가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전쟁이 무르익던 그해, 모든 과목에서 낙제하자 학교에서 쫓겨나자 부모님은 뉴욕에서 극단을 운영하는 페그 고모에게 보내버렸다. 하지만 집에서보다도 뉴욕에서의 그녀의 모습은 더 빛이 나는 것만 같다. 89살의 비비안이 회고록 형태의 편지로 이어나가는 이야기에는 막 도시에 눈을 뜬 설레임이 전해져 온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20살 대학생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궁금해졌다. 비비안처럼 그리 자유롭지도 그리 독립적이지도 않았으면서도 젊은날이 왜 떠오른건지. "젊음을 귀하게 여기는 방법은 오직 낭비하는 것뿐"이라는 말에 걸맞게 질주하던 비비안은 막다른 골목에 도달하게 된다.
이 소설은 또 다른 여성으로서의 성장 소설같다. 열아홉 세상에 내던져진 이제 막 어른이 된 그녀는 그저 방탕하고 예뻐보이기만을 목표로 삼았던 것 같았지만, 또 진정한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해야 한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고 그날의 기억들이 결코 무모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철없어 보이고 무모해 보일지라도 한번쯤은 겪게 되는 과도기적인 그런 시절이 아니었을까.
지금의 내가 돌아보는 내 젊은 시절과 또 비비안의 나이가 되어서 되돌아보는 그때의 감정들은 어떨까.
이 책을 저자의 전작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화제작이라고 소개하고 있는데, 아쉽게도 그 전작을 영화로도 책으로도 즐기기 못했다. 이 <시티 오브 걸스>가 한 걸음 더 나아가긴 했다고 하지만 이 책의 필력으로 볼때, 다른 책도 매우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