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날 정해연의 날 3부작
정해연 지음 / 시공사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예원, 선준 부부는 3년전 아들 선우를 잃어버렸다. 불꽃놀이 축제에서 예원이 아들 선우의 손을 놓쳐 버린 것이다. 예원은 미친듯이 선우를 찾아다녔고, 아이를 찾는 일이라면 그 어떤 일도 서슴치 않았다. 선준도 지쳤다. 자신도 아이를 잃어버린 아빠였다. 그렇다고 여기서 끝낼 수는 없었다. 정신없이 뛰어다녔다. 하지만 예원을 챙기는 것도 힘이 든다. 예원의 분노조절 장애가 심해지고 있었고, 극단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소견으로 그녀를 요양원에 입원시키기로 결정했다. 예원은 아이를 찾기위해서 입원을 거절했지만 이혼하자는 선준의 말에 고분고분 그의 결정을 따랐다. 그곳 요양원에서 옛날 선우가 가사를 바꿔서 부르던 노래를, 선우만이 부르던 노래를 부르는 아이 로운을 만나게 된다.


'선우야' 무심결에 불렀다. 그런데 아이가 돌아봤다. 어쩌면 선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예원은 아이를 데리고 병원을 나서게 되었다. 부부의 집으로 오게된 로운은 가족사진의 선우를 보고, 울림기도원에서 함께 있었다고 말한다. 그토록 찾아 헤매던 아들. 어쩌면 이 아이가 선우에게로 부부를 데려다 줄 수도 있을것 같다. 마음 한켠에서는 아이를 병원으로 데리고 가야한다고 하지만, 또 한켠에서는 선우를 찾을때까지라고 말한다. 과연 그들은 선우를 찾을 수 있을까.


참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필사적으로 아이를 찾는 예원의 모습에서 자신도 아이를 잃어버린 아빠이지만 어떤 내색도 할 수 없는 선준도. 또한 엄마의사랑이 그리워 자해를 하는 로운이도 말이다. 그리고 사랑받지 못해서 아이를 사랑할 줄 모르는 로운의 엄마 주희도. 그들에게 조금의 도움의 손길이 있었다면, 꼭 그것이 가족이 아니라 사회의 어떤 제도라도 있었다면 이들은 이런 아픔을 겪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모든 문제는 단 한사람만의 잘못이 아니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일들이 쌓이고 쌓여 정신을 차리고 보면 잘못된 정거장에 도착해 있는 것이다.(p.277)


누구를 탓할것인지... 물론 비난 받아야 하는 사람들은 따로 있었지만 이들은 비난할수 없을 것 같다. 그저 운이 안좋았을 뿐이고, 그래서 그들을 지옥속에서 언제 끝이 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스스로 벌들을 받고 있었을 뿐이라고 생각된다. 초반에 자살을 시도했던 예원을 형사는 의심했다. 이제사 형사는 말한다.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는 아이가 죽었다는 걸 확인하기 전까지는 절대 자살하지 않으니까요."(p.258) 이 말을 읽는 순간 심장이 쿵 내려앉는 느낌이었다. 요즘에 일어나는 아동학대 사건들을 보면, 그것도 친부모에게 학대받는 사건들을 보면 참 마음이 쓰라린다. 누구나 부모는 처음이라 미흡할수 있지만 부모들의 마음이란 다 같을텐데, 그렇지 못하고 아이들을 방임하고 학대하는 이들에겐 구원의 날따윈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자식이 아니더라도 아이들을 학대하는 이들에겐 그리고 외면하는 이들에겐 절대로 구원의 날은 오지 않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