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와 어? 인문과 과학이 손을 잡다
권희민.주수자 지음 / 문학나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말하는 과학은 "수박 겉핥기"이다. 이 속담은 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것 같지만,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속담이 머리에 떠오른 이유는 긍정적인 의미가 더 많았다. 너무 깊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얕게도 아닌 일반적인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여기서 흥미있는 내용에 대해서 전문적인 책을 찾아 본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싶은데 말이다.


이 책 중에서 몇가지 시선을 끄는 말이 있었다. 첫번째는 "시간은 주기적으로 있는 어떤 것을 <관찰>해서 얻어낸 <개념>이다.(p.50)"라는 것이다. 지금은 우리가 너무나도 당연하게 알고 있는 것들을 보면, 과학자들의 끊임없는 관찰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우주에 존재하는 별들과 행성들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케플러의 법칙만 보더라도 그의 집념의 관찰과 관측 덕분이 아니었나 싶다. 그 사실을 배울때는 그저 외워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케플러의 오랜 노력을 알았을 때는 그냥 지나갈수 없는 이론이 되어버렸다.


두번째는 "우리 몸에는 약 100조 개 세포가 있다. 그리고 두뇌에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인 뉴런이 있다. 우연하게도 우주엔 100조 가량의 별들이 있고, 우리 은하에는 무려 1000억 개의 별이 있다.(p.172)" 어쩌면 이는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고집 피우고 싶은 사람들이 억지로 끼워맞추는 이야기일테다. 어쩌면 이건 우연일 것이다. 이 무한한 우주에 생명체는 지구에만 있을리는 없다. 그저 인간이 제일 위대하다라고 말하고 싶은 것 뿐일테다. 요즘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보면 사람이라는게 창피할 정도이다. 아동학대에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가운데 생후 2주된 아이의 일은 정말이지 분노게이지를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자기가 굳게 믿는 진리를 위해서 목숨을 바쳐야 하는 사람들은 종교인들이어야 할 것 같은데, 엉뚱하게도 과학자들이 고난과 박해를 겪었다.(p.192, 193) 항상 종교와 과학은 충돌해왔다. 순수한 종교적 믿음도 있었겠지만 혹자들은 신을 등에 엎고 이익을 취하려 했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나는 이 세상에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일은 없다고 본다. 다만, 지금의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못하는 것뿐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마다 각자 입장은 다르겠지만 그렇다고 누가 맞고 누가 틀리다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나의 믿음이 중요한 만큼 다른 사람의 믿음도 존중해줘야 하는 것이 진정한 종교인이자 과학자가 아닐까. 갈릴레오는 간신히 종교심판은 면했지만 자택감금 당하던 중에 죽었다고 한다. 지구가 움직이는 것이 뭐 대단한 것이라고 그의 신념을 깨트리려 했을까. 하지만 1992년 로마 교황청은 갈릴레이가 주장했던 지동설이 옳았던 것 같다고 인정했다고 한다. '옳았던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겠지만. 359년이 흐른 뒤에야 교황청은 자신들의 무지와 실수를 인정했다. 과학과 종교는 서로 대립되야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여전히 둘은 대립각을 세운다. 서로 다른 분야에서 열중해야 하는 문제이지 결코 대립되서는 안된다는 지극히 주관적인 나의 생각이다.


저자들은 부부다. 물리학자와 소설가이다. 이 책에서 쉽게 말에 문과와 이과의 대립을 간간히 볼 수 있었다. 다른 사람들이 보는 내 모습도 은연중에 이과체질이지 않을까 생각하지 슬쩍 입꼬리가 올라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