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쿡언니의 방구석 극장
양국선 지음 / 지식과감성# / 2020년 12월
평점 :
젊은날... 아직도 젊긴 한데.. 어쨌든 지금보다 예전에는 영화를 많이 봤었다. 누군가와 약속을 하고 영화를 보다가, 혼자서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을때, 그냥 시간이 생기면 근처 영화관에서 영화를 봤었던것 같다. 아마도 동행이 있을 때는 영화를 이유로 얼굴 한번 보자했던게 컸을것 같고, 혼자 영화를 보게 될때는 그저 영화가 좋아서였을 테다. 혼자서는 이것저것 봐야하지만 동행이 있을때는 서로의 취향도 생각해야 하고 영화만 딱 보는게 아니고 이것저것 많이 해야하지 않겠나.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영화보다는 책을 더 많이 읽게 되는 것 같다. '원작을 갖고 있는 영화라면 책을 보자'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이 책에서 언급된 영화들을 "토이 스토리 4" 만 제외하곤 어쩜 하나같이 보지 않은 영화일까. 이렇게 난감할 수가.. 그래서, 글을 읽을때, 몇편 영화로 봐야겠다 싶은 것들을 적어는 놨지만 정말로 볼 수 있을까. 물론, 코로나때문에 영화관들이 많이 잠시 문을 닫았고, 지금은 꼭 영화관을 가지 않아도 집에서 충분히 볼 수 있지만, 언제가부터 한국영화만을 선호하며 보던 버릇이 이제는 별로 관심이 가지 않는다.
이 책은 영화 이야기와 더불어 저자의 생활이나 생각을 녹여낸 에세이이면서 영화 이야기이다.(맞나? 나는 그렇게 느꼈다.) 영화를 보지 않아도 저자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공감도 가게 된다. 영화가 좋아서 늦깍이로 영화과에 다닐때 졸업 영화를 찍어야 하는 상황에서 아무리 예산을 줄인다 해도 턱없이 모자라 미리 축의금을 좀 보내주면 안되냐며 돈을 모아 간신히 졸업영화를 찍었다고 한다. 물론 선뜻 보내준이도 있지만 어떻게 이런식으로 제작비를 모으냐며 거절한 사람으로 인해 상처를 받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 영화는 너무나도 상업성만 바라보고 배우들의 몸값만을 올려주는게 아닌가도 싶다. 어떤 영화들은 아주 오랜기간동안 제작되지 못하다가 우여곡절 끝에 제작되는 경우도 봤었다. 몇해전 영화 "귀향"이라는 영화에 딸아이의 이름으로 후원을 했던 적이 있다. 갑자기 이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그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이런 이야기가 2005년의 일이라 하니 지금은 감독의 가오가 있지라고 말한 누군가도 생각이 많이 바뀌지 않았을까 싶다.
길고긴 설날연휴가 시작되었는데, 아무래도 여기 소개된 영화 한편이나 방구석 극장에서 관람이나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