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우지 않아도 삶에 스며드는 축복
정애리 지음 / 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꽤 익숙한 배우 정애리의 시와 같은 에세이라고 해야하나. 나는 원체 시하고는 친하지 않아서 시라면 움찔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시의 형식이지만 에세이에 가까운 그래서 읽기 친근한 그런 책이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그에 얽힌 이야기를 쫓아가다보면 정말로 삶에 무언가가 스며드는 느낌을 받게 된다. 항상 TV에서 보던 모습이 부드럽고 봉사를 많이 하시는 모습이어서 그런지 글에서도 그런 향기가 나는 것만 같다.


책을 읽다가 그녀가 2016년 난소암 진단을 받았었다는 것을 알았다. 활동중에 복막염으로 급작스런 수술을 난소암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다행히(?) 1기여서 수술을 하고 예방차원에서 항암치료를 받으며 빠지는 머리카락 때문에 어쩔수 없이 머리를 밀었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언젠가 그녀가 건강상의 이유로 드라마에서 하차하고 아예 배우가 교체됐었는데, 그때가 바로 이때였나보다. 치료를 다 받고 머리가 길러 모양을 잡아 정리하던 날, 왈칵 눈물이 났다고 한다. 그래서 마음이 흐트러질 때마다 기억한다고 한다. 고통을 겪어냈던 그 날들을 말이다.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아프게 되면 고민이 깊어진다. 나는 아팠던 것은 아니지만 언젠가, 머리가 엄청나게 아파서 가족들에게 알리지 않고 병원을 찾아갔던 적이 있었다. 의사에게 별거아니라는 말을 들을때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는지 모른다. 큰 병일지 모른다는 생각만으로도 두렵고, 이상한 생각까지 했는데, 정말로 투병생활을 하게되면 어떤 기분일지는 상상을 못하겠다.


옹이가 많은 나무 탁자가 왜지 안쓰럽습니다.

상처를 갖고 견디며 살아온 시간이 느껴져서일까요. (p.26)


나무옹이, 그저 나무의 한 무늬일꺼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무 옹이는 죽은 가지의 조직 주위를 새로운 세포조직이 감싸면서 생긴다고 한다. 나무는 이르르 내치지 않고 한몸으로 같이 살아낸는 것이라고 한다. 글쎄... 나의 나쁜 버릇 중에 하나가 힘든일을 곱씹으며 나자신을 괴롭히는 것이다. 이제 툴툴 털어버리고 잊어도 됨직한 일들을 자세히 곱씹으며 나에게 생채기를 낸다. 하지만 나무는 온갖 풍파를 맞으며 죽어버린 나뭇가지의 빈자리를 감싸며 내성의 힘을 갖는가보다. 아무래도 나도 내 스스로에게 상처를 주지말고, 비바람을 견디며 나 자신을 더 소중히 해야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삶의 비바람을 마주한 이들에게도 따뜻한 우산을 준비해 건넬 줄 아는 그런 사람으로 살고 싶습니다.(p.271)


이야기를 마치는 마지막 그녀의 말처럼.. 나도 그런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불가능할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