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열
아키요시 리카코 지음, 김현화 옮김 / 마시멜로 / 2020년 11월
평점 :
절판
아침 일찍부터 접시가 깨진다. 시작부터 아마도 이 이야기의 끝을 말해주는 복선일까. 행복한 신혼인 히데오와 에리는 각기 다른 꿈을 꾼다. 에리의 본명은 가와사키 사키코, 그녀는 남편을 잃었다. 어릴적 엄마는 병으로 돌아가시고 열살때 아빠마저 뺑소니 차에 치여 세상을 떠났다. 어린 사키코는 친척집을 전전하다 독립을 했고, 남편인 다다토키를 만났다. 일찍 부모님을 잃은 공통점을 지졌던 다다토키는 그녀의 유일한 가족이었다. 그런 다다토키가 죽고 말았다. 그를 살해한 용의자로 지목된 히데오는 오히려 다다토키가 사기꾼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풀려나게 된다. 남편이 직장을 계속 다니고 있다고만 믿었던 사키코는 공범이 아니냐는 오해와 함께 세상으로부터 고립되어 가고 있었다.
이 소설이 왜 "작열"일까 생각을 했다. 어떠한 삶도 이글이글 타오를 만하지 않았던 것만 같은데 말이다. 과연 성형수술까지 하면서 남편의 복수를 하기위해 히데오에게 접근한 사키코의 삶이 "작열"한다고 해야 하나? 하지만 역자후기를 읽고 나서 조금 이해가 되기도 한다. 작년에는 유난히도 더웠다. 시끄러웠던 에어컨을 새로운 것으로 바꾸지 않았다면 견딜수 없었을 것이다. 그야말로 작열하는 태양아래 답답한 마스크까지 챙겨쓰며 보내왔었다. 그런 더운 여름 맘편히 쉴수 없는 공간 하나 없는 삶을 살았던 이에게 붙혀주는 그런 제목이 아니었을까.
살짝 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보이는 막장의 냄새가 나기는 했으나, 어쩜 더 인간적인 것 같기도 하다. 죄를 짓고도 오히려 뻔뻔하게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 어찌보면 뉘우침도 없이 당당(?)하게 살아가지 않던가. 피해자의 가족들을 위해서 정말로 그들이 납득할 만한 죄의 댓가를 받고 참회하면서 살아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