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3도시 ㅣ SG컬렉션 1
정명섭 지음 / Storehouse / 2020년 11월
평점 :
요즘 좀 눈이 뜬 작가라고나 할까. 처음 만나기엔 < 저수지의 아이들 >이 처음이었고, "을지문덕 탐정"시리즈를 만났다. 역사추리소설을 너무나도 재미있게 쓰셔서 이번 기회에 줄기차게 읽어보려고 마음을 먹고 있는 가운데 이 < 제 3도시 >를 만났다. 최근에 온라인 독서모임에서 저자의 < 유품정리사 >를 읽을 기회가 있었는데, 답사를 엄청 많이 다니신다고 한다. 분명 그런면 때문에 소설이 짜임새 있게, 그리고 사실적으로 느껴지는 것 같다.
이번 이야기의 배경은 개성공단이다. 민간 조사업자, 혹은 탐정이라고 불리는 직업의 강민규에게 어느날 외삼촌 원종대가 찾아온다. 개성공단에 공장을 가지고 있는데, 아무래도 원재료와 완성품이 자꾸만 없어진다는 것이다. 그 사건의 조사를 맡아달라는 제안이었다. 공장의 관리직원으로 위장하고 개성공단에 올라간 민규는 사건을 조사하면서 유순태 법인장과 대립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유순태 법인장이 숙소에서 살해되고, 전날 그와 다투었던 민규는 살해 용의자로 북한측에 체포된다.
개성공단이라는 곳은 참 묘한 곳이다. 대한민국의 기술로 건설된 개성 공단에 북한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다. 모든 결제는 달러로 이뤄지고, CU 편의점에 북한 종업원이 일하고 있다. 핸드폰도 인터넷도 안되는 곳, CCTV도 달수 없는 곳이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불편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다.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과연 우리는 평화의 길로 가고 있는 것일까. 실제 상황에서도 결코 우리는 동등하게 걸어가는게 아니라 마치 끌려가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이 소설 속에서도 그런 느낌들이 있다. 뭔가 어색한 관계들, 속고 속이는 관계들.. 정말로 남과 북은 평화를 원하는 것일까.
이 소설은 참 어렵다. 스토리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그 속에 얽혀 있는 남북관계가 어려운것 같다. 한번도 우리 남북관계에 대해서 자세하게 생각해보지 않아서인지 모르겠다. 아무래도 이 소설을 이해하려면 나름의 공부가 살짝 필요할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