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께 걸어갈 사람이 생겼습니다 - 비야·안톤의 실험적 생활 에세이
한비야.안톤 반 주트펀 지음 / 푸른숲 / 2020년 11월
평점 :
오지 체험가로, 그리고 월드비전 긴급 구호 팀장으로 세계 고곳의 재난 현장에서 일했던 저자가 예전 에 출현했던 프로그램을 본적이 있었다. 워낙 밝은 편이었던 저자였기에 통통 튀는 것 같은 말투가 이 책을 읽으면서도 계속해서 느껴졌다. 그런데, 3년전에 결혼을 하셨단다. 함께 일했던 그당시 보스였던 네덜란드인 남편과 말이다. 그래서, 1년에 3개월은 네덜란드에서 살고, 또 3개월은 한국에서 살고, 나머지 6개월을 각자 사는 방법으로 산다. 사실 부부라고 해서 항상 같이 살 필요는 없는것 같다. 더군다나 각자의 일이 있고, 다른 나라에 살고 있다면 이렇게 사는것도 항상 여행하는 기분이면서 또, 누군가 한사람이 무언가를 포기해야한다는 것이 없어서 굉장히 좋을듯 싶다. 하지만 그들도, 이젠 장거리 여행이 힘들게 될즈음에는 한국에서 정착해서 살기로 의견을 수렴했다. 워낙에 개방적인 느낌이 받았기에 부부가 이렇게 의논하면서 일을 결정하는 모습이 참 좋다. 나도 매번은 아니더라도 언젠간 한달만이라도 혼자서 지내고픈 마음이 있기는 하다. 딸아이가 밥벌이를 하고, 우리가 은퇴를 하고나면야 가능해지지 않을까 싶기는 한데 말이다.
항상 한비야, 그녀의 배낭여행과 긴급구호의 현장 이야기만 읽어봐서 그런지 "비야, 안톤의 실험적 생활 에세이"라는 이 책은 왠지 낯설지만 또 다른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꽤 신선하기도 하다. 언젠가 아버지 친구분이 제주로 이사를 하겠다고 했는데, 혼자만 가시고 아내분은 서울에 남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별거를 하시나 싶었는데, 이제 생각해 보면 아저씨는 자연을 즐기고 싶고, 아주머니는 낯선곳은 싫고 해서, 가끔씩 서울과 제주를 오가며 생활하시는데, 이 방법도 꽤 괜찮은 방법인것 같다. 부부라고 해서 꼭 함께 살아야 하는 것도 아니고, 자식들을 다 키워놓고, 졸혼이라는 개념보다 자신들의 삶을 살아가는 것도 좋다. 실험적 생활 에세이가 아니라 꽤 괜찮은, 하지만 좀 경제적인 뒷받침이 되야하는 점이 있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한비야님은 예전부터 느꼈지만 범상치 않은 분이다. 그래서 이 책이 더 반갑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