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북클럽 온라인 독서모임 "몽블랑" 도서

이 책 제목은 늘상 들어는 왔었지만 쉽게 잡을수가 없었다. 두꺼워서 어려워서 뭐 그런것은 아니고, 지금도 방에 쌓여있는 책들을 보면 쉽사리 데리고 와서 읽을 수가 없었던듯싶다. 친한 언니가 꾸준히 재밌다고 소개해주었고, 이번에 독서모임 책으로 선정되고서야 비로서 읽게 되었다. 500여 페이지에 달하지만 엄청 빠르게 책장을 넘길수 있었다.

이 이야기의 시작은 저자가 세종대왕에 관한 영화를 준비하면서 조선왕조실록을 뒤적이다가 장영실에 얽힌 이상한 사건 하나를 접하고부터였다고 작가는 말한다. 노비라는 미천한 신분에도 불구하고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많은 기득권 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종대왕은 그를 종3품 대호군이 벼슬을 내린다. 하지만 성군 세종의 아꼈던 장영실은 1442년 임금의 가마를 잘못 설계했다는 이유로 모든 역사에서 사라졌다. 세종이 신분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했던 반면 매몰차기도 했다라는 예로 이 사실이 언급되는 것을 몇몇 보기는 했지만, 여러 일화로 볼때 의구심을 가질만 하다. 또한 세세한 기록까지 했던 실록에서도 어떠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무언가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가지게 마련이다. 많은 자료 수집이 바로 루벤스의 이 그림으로 이어졌고, 여러 역사적 사실들에 작가의 상상이 살을 찌워 드디어 이 소설을 완성케 했다. 나도 읽으면서 실제로 일련의 사건들을 지켜보고 있는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이 리뷰를 쓰기 직전에 좀 허망했던 기사를 하나 읽게 되었다. 바로 저 사람이 조선인이 아니라 중국상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 어떤 것도 사실로 밝혀진것은 없다. 서양인이 바라보는 동양인은 거진 다 똑같지 않은가. 한동안 나도 외국인들을 잘 구별을 못했다. 워낙 다빈치와 장영실의 발명품에는 유사점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다빈치의 스승이 장영실이라고 시대의 최고 천재의 조우가 있었다고 믿고 싶다.

천재들은 항상 당시에는 각광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인 것 같다. 장영실도 꽤 유능한 인재였지만 항상 그의 발목은 붙잡는 것은 신분제였다. 만약 장영실이 지금 시대 사람이라면 주목받았을까. 한국이라는 사회, 그리고 그의 천재성을 시기하는 사람들로 인해 또 다른 시련을 겪지 않았을가라는 생각을 한다. 오히려 그의 천재적인 재능이 지금 현재 다시 조명 받고 있는 것은 아마도 세종대왕의 덕분일런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역사에서 사라진 장영실은 그 이후의 삶은 어땠을까. 소설속에서 장영실은 머나먼 타국땅에서 그를 그곳으로 보냈던 주군을, 그리고 그를 위해 희생했던 사람들을, 그리고 고국을 그리워한다. 그런 마음이 그대로 전해지듯 마음 한켠이 아릿해진다. 아마도 우리가 장영실을 잊지 않는다면 항상 그는 고국땅에서 그가 사랑했던 사람들과 숨쉬고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