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동네서점
배지영 지음 / 새움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만났을 때의 느낌은 환상의 동네서점이라 함은 작은 아기자기한 그런 서점인줄 알았다. 그런데, 작가의 강연회도 하고 북클럽도 한다기에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들어갈 공간이 있을까 의문이었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았더니 그리 작지많은 않은 서점이다. 아마도 군산의 명물이지 않을까. 아마가 아니라 이미 군산의 명물인지도 모르겠다. 특이하게도 저자는 이 한길문고의 "상주 작가"이다. '작가와 함게하는 작은 서점 지원사업'으로 군산 한길문고에서 상주작가로 일한다. 아마 서점에 가면 정말로 글쓰는 작가를 만난다는 것이 참 새로운 경험이 될 것 같다.


나도 사실 책 읽기를 매우 좋아한다. 그저 책읽는것만 좋아했지, 출판쪽 사람들에 대해 잘은 몰랐다. 하지만 출판사 대표님과 공통관심사를 가진이들을 인터넷공간에서 만난 후로는 많은것이 달라졌다. 출판에 대해서도 알게되었고, 많은 작가님들은 물론 알지 못했던 책들도 만나게 되었다. 책장속에 있는 책들도 꺼내읽고, 같은 책을 읽고 온라인 채팅방에서 이야기를 나누는것을 물론, 한작가의 책을 함께 스토킹하듯 읽고 감상을 나누기도 한다. 만약 오프라인에서 이런 행사를 하는 서점이 있다면 매일 출근도장을 찍지 않을까 싶다.


이 곳 한길문고에서는 '엉덩이로 책읽기'프로그램도 있고, 1시간은 너끈히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겠다 생각했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오랫동안 책을 읽는다 해도 진득히 엉덩이 떼지 않고 읽지는 못했던 것 같다. 언젠가 24시간을 책읽는 대회가 있다고 들었는데.. 하루밤 꼬박은 힘들고, 1시간정도는 도전할 의향은 있는데 말이다. 200자 백일장 대회를 열기도 하는데, 사실 요것은 자신이 없다. 글재주는 별로 없으니 말이다.


이 책을 읽다가 처음 종로의 교보문고를 갔던 적이 생각난다. 아마도 고등학생이 될즈음이었나. 그때는 동네에 서점이 많아서 일부터 큰 서점을 찾아갈 필요가 없었지만 처음 본 교보는 완전 환상적인 곳이었다. 하지만 요즘엔 곳곳에 생기는 대형서점들의 분점들과 온라인 서점에 밀려 동네서점은 그다지 많이 찾지는 않는것 같다. 다양한 방법으로 책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들이 생겼기 때문에 이젠 서점은 책을 파는 곳만으로는 그 명분을 유지하는데는 좀 힘들것 같다. 허나 이 '상주작가'라는 제도는 꽤 좋은것 같다. 독서인구가 줄어든다고 한탄하지 말고 이렇게 서점을 찾아가 책을 접할수 있는 기회를 늘릴수 있는 제도가 많았으면 좋겠다. 지역적인것 말고 전국적이면 얼마나 좋을까. 다행히 우리동네는 '책읽는 도시'라는 슬로건을 내놓고 있어서 도서관도 많고, 좋은 제도가 많다. 서점도 환상적으로 바뀌고 도서관도 많이 생겨서 책읽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