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의 쌍곡선
니시무라 교타로 지음, 이연승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1930년생, 올해로 90세인 노작가 니시무라 교타로. 그는 일본의 '국민' 추리소설가라고 한다. 하지만 왜 나는 그의 작품을 처음 읽었을까. 아니면 작가이름을 유심히 본게 얼마 안되서 읽었어도 인식을 못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이 이야기는 클로즈드 서클, 쌍둥이, 미싱 링크, 알리바이 공작등 본격 요소를 골고루 담은 본격 미스터리의 고전이자 교과서라고 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교과서가 아무래도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가 아닐까. 요즘 들어서 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의 형식을 빌어 오는 추리소설이 등장하는 것을 볼때, 단연코 추리소설계에서 범접할수 없는건 그녀일것이다. 어렸을 때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을 읽고 요즘은 뜸했는데, 아무래도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한번 더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특히나, 이 소설을 시작하면서 재밌었던 부분은 저자가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였다. 마치 소설속 인물들이 초대장을 받은 것처럼 말이다. "이 추리소설의 메인 트릭은 쌍둥이를 활용한 것입니다."라는 말로 시작한다."영국의 추리소설 작가 로널드 녹스가 제시한 '탐정 소설 십계'를 보면 그 열번째로 '쌍둥이를 활용한 역할 바꾸기 트릭은 사전에 독자에게 알려야 공정하다"라는 항목이 있습니다"라고는 하는데, 가르쳐줘도 못받아 먹는 사람이 여기 하나 있으니 말이다.
이 살인은 두가지 사건이 전혀 상반된 이야기처럼 진행이 된다. 하나는 저자가 초반에 밝힌 쌍둥이가 등장하는 강도사건이다. 흰색 장갑을 꼈으나 얼굴은 전혀 가리지 않았던 쌍둥이 형제. 그들은 대담하게 연말 호황을 누리는 가게들을 찾아서 돈을 갈취한다. 그들은 잡고 보니 너무 닮아서 피해자들도 형제중 누가 실제로 강도를 저질렀는지 지목하지 못한다. 범인을 알고도 잡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만다. 다른 하나는 숙박비와 여행비를 모두 부담하겠다며 호텔로 초대하는 초대장을 받고 '관설장'에 모여든 사람들이다. 폭설이 내려 외부로 나갈수 있는 수단이 모두 끊긴채 고립된 곳에서 초대받은 사람들은 한사람이 살해되기 시작한다.
서로 상관 없을 것 같은 두 사건이 하나로 만나게 된다. 그들은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모르지만, 범인들에게는 이유가 있었다. 물론 그들의 이유가 정당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게 남에게 입히는 경우가 있다. 아무런 죄책감도 없이 말이다. 뭐, 요즘 세상 남에게 피해를 입히고도 몰지각하게 구는 사람도 있지만 말이다. 소설 입장에서 본다면 매우 재밌고, 가독성이 빠른 이야기지만, 실제 상황으로 본다면 이렇게 무자비하게 굴어야 하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소설속 이야기이긴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 소설보다 더한것도 있으니 뭐 말을 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