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도 구하겠습니다! - 1퍼센트의 희망을 찾아가는 어느 소방관의 이야기
조이상 지음 / 푸른향기 / 2020년 5월
평점 :

그런 사진을 본적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불길을 피해 사고 현장을 벗어나기 위해 뛰어 나올때, 묵묵히 그들이 벗어난 그곳으로 걸어들어가는 사람. 그들은 바로 소방관들이었다. 언제라도 무슨 상황에서라도 달려와주는 분들이라 생각을 한다. 아니나 다를까. 소방관이 뭐 하는 직업이냐고 물으면 나는 대답한다. "손을 잡아주는 일이에요."(p.18)그분들의 내밀어 주는 손은 정말 하늘에서 내려오는 튼튼한 동앗줄 같은 존재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본다.


나는 소방관분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받은 적이 한번 있다. 우리집 베란다 바깥쪽으로 뭔가 이상한게 보였는데... 말벌이 집을 짓는 중이었다. 119에 신고를 하고 얼마 안있어 대원분들이 오셔서는 특별한 살충제로 뿌리고선 집을 떼어주셨다. 벌집이 그리 크지도 않았고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말벌의 위력을 아니 조심할수 밖에 없었다. 한동안 외출했던 말벌들이 없어진 집터로 와서 배회하는 모습이 짠했지만 그래도 사람이라고 쏘면 어쩌나 싶어 소용없다는 일반 살충제를 뿌리며 쫓았었다. 그런데 종종 말벌집 제거 도중에 말벌에 쏘여 다치시거나 급기야 목숨을 잃는 소방대원의 기사를 보곤한다. 한경우는 고인이 보호복을 착용하지 않았고, 말벌집에서 1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던 점을 근거로 유족들의 순직 신청을 거부했다고 한다. 소방대원분들은 중요한 일을 하시는 분들이다. 어떤 기준을 정하지 말고 무조건 출동중에 다친거에 대한 치료비 또한 다 세금으로 지원해줬으면 좋겠다.



가장 안타까웠던 이야기중 하나가 바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는다는 것이다. 소방공무원의 PTSD 유병률은 17~23%로, 일반 인구에서의 PTSD 유병률 0.4~4.6%인 것에 비해서 매우 높은 수준이다.(p.143) 어찌 안그러겠는가. 어느 누군가의 손을 잡아주지 못했다는 그런 일들로 당연히 높지 않겠나 생각이 든다. 방송에서도 그런 고통을 호소하다가 결국 자신에게는 손을 내밀지 못했던 분들의 이야기를 본적이 있다. 우리는 항상 어려울때 이분들의 도움을 받는다. 또한 그분들이 우리를 구하는 도중에 다치신것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함에 있어서 우리도 손을 내밀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지금도 수해현장에서, 그리고 코로나 현장에서 많은 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소방대원분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