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사
마리 유키코 지음, 김은모 옮김 / 작가정신 / 2020년 8월
평점 :
이 책을 읽으면 오늘 밤 당신은, 집 안의 문을 여는 것조차 무서워질지도 모른다. 다크 미스터리의 여왕으로 불뤼우는 마리 유키코의 '이사 호러 괴담집'이다. 이사를 하면서 내 전에 누가 살았을까라는 생각은 한번도 해보지를 못했었다. 이 책을 읽다보니 앞에 살던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또 꼼꼼하게 살펴봐야하지 않나 싶다.
처음 「문」을 읽고는 '이게 뭔 이야기래' 했었다. 그래서 살짝 작품해설을 먼저 봤는데, 아... 이것이 실제 있었던 일을 소재로 바탕으로 한 소설인가 아닌가 혼란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마지막에 이 작품은 픽션입니다'라는 말에, 다행이다라는 생각은 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픽션이라 해도 요즘세상 이런 일이 없으란 법이 없다. 워낙에 험악해진 세상이니 말이다. 기요코는 자신이 살던 집에 전에 살았던 이가 살인범이라는 것을 우연스레 알고 이사하기로 마음먹고 집을 보러 다닌다. 중개인을 돌려보내고 더 둘러보는데 집 바로 옆에 비상문이 있었다. 비상시에 탈출해야 하는 설비는 꼭 필요하다. 그런데, '안쪽에서는 열리지 않습니다. 비상시가 아니면 들어가지 마십시오.'라는 문구가 밖에 있어야 하는데 안쪽에 있다. 살피러 들어갔던 기요코는 그만 갇히고 만다.
맨션의 관리 헛점이 보인다. 항상 그렇다. 조금만 더 신경을 썼더라면.. 진정 비상시에 필요로 하는 문이었다면 위험문구를 안에다 적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다. 이 리뷰를 쓰는 동안에도 엄청나게 비가 내린다. 이렇게 비가 많이 내리면 위험할텐데, 왜 위험한 일을 멈추지 못하는지 모르겠다.
마리 유키코는 '이야미스'라는 장르를 개척한 작가로 평가받는단다.이야스미란 인간의 어두운 측면을 가차 없이 그려내기에 읽고 나면 기분이 찜찜하고 불쾌해지는 미스터리를 가리키는데, 논리적인 추리나 사건 해결보다 인간 내면의 어두운 심리 묘사에 중점을 두고 범죄 및 사회 현상을 그려내는 것이 특징이다.(p.257)이 장르에 대해서는 <파멸일기>의 윤자영 작가님 덕분에 알게된 장르였다. 왜 굳이 책을 읽어나가면서 기분이 찜찜하고 불쾌해져야 하는가라는 생각을 했는데, 세상이 각박해짐에 따라 이런 장르까지 생겨난 것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이 책도 무심히 읽어나갈수가 없다. 「상자」라는 이야기에서 보듯이 직장내에 괴롭힘도 참 문제가 되는 그런 사회현상 중 아닐까 싶다. 여기서는 직장내 괴롭힘을 이사를 빌미로 사고가 생기게 되지만 괴롭힘을 이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이 소설을 통해 마리 유키코를 처음 만났지만 이야미스라는 장르를 개척한 작가라는 말이 상당히 호기심을 자극한다. 옮긴이의 조언처럼 이 작품을 애피타이저로 마리 유키코의 이야기들을 즐겨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