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행히도 죽지 않았습니다
김예지 지음 / 성안당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같은 감정인지는 모르겠지만 바닥을 친다는 느낌... 그리고 아무것도 할 자신이 없었다는 것을 나도 느꼈던 적이 있었다. 물론 저자와는 다른 느낌이었겠지만, 나는 나 자신으로부터가 아니라 다른 이로부터 느껐었던 그런 절망감. 어쩌면 나도 내 성격탓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았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 그 때를 생각해보면 그냥 웃음만 피식... 누가 지금의 나를 보고 그 때 그 모습을 생각할까라는 생각을 말이다. 시간이 많이 지난 후에야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지만 그 때 당시의 나는 참으로 많이 힘들었었다. 어쩌면 이 책 제목처럼 다행히 죽지 않고 잘 견뎌냈기에 이런 생활을 즐기지 않았냐고 칭찬을 건네고 싶다.
왜 저자는 죽고 싶었을까. 그는 자신을 겉으로는 고요해 보이나 물 밑에서 엄청 빨리 발을 움직이는 오리같다고 표현한다. 일상적인 생활이 그녀에게는 너무나도 버겁고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저 성격상, 혹은 자존감이 낮아서라고 믿고 많은 노력을 했고, 상담을 받아보기도 하며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을 먹어보기도 했다. 하지만, 상담을 받고 약을 먹고 괜찮아 지다 싶은것도 잠시뿐, 또다시 공황장애가 찾아왔고, 그녀는 현실에서 또 도망치려고 했다. 어떻게든 살아보려 방법을 찾으려다 우연히 발견한 어느 다큐멘터리에서 자신이 "사회공포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회 공포증"이란 사회불안장애로 이름 그대로 '사회 상황'에서 불안과 공포를 느끼는 질환이다. 사회 상황이란 구체적으로 낯선 사람과의 대화나 다 같이 음식을 먹고 마시는 자리 또는 다수의 청중 앞에서 홀로 무언가를 말하고 수행하는 연설이나 발표처럼 타일을 마주하는 일련의 상황들을 의미한다. 이런 상황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마주할 때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낀다.일반적인 사람들이 느끼는 '수줍음'과는 다른 감정이라고 한다.
같은 경우는 아니었지만 나도 예전에는 사람들에게 나서지 못했고, 길을 못 물어봐서 다시 돌아온적도 있었다. 그것은 학생때였고, 지금의 직업과 그리고 나이를 먹다보니 그런 경우를 많이 줄어들기는 했다. 세월이 약이라는 말이 싫지만 나이가 들어보니 한편으로 맞는 이야기인것 같다. 확연히 나와는 다른 이야기이지만 저자처럼 상담이나 병원치료로 어려운 상황을 극복했으면 좋겠다. 저자의 팔에 그려진 끊어진 뫼비우스의 띠처럼 끝나지 않을것 같은 상황을 잘 이겨내고 고리르 끊어내며 행복을 찾았으면 좋겠다. 그런 의미로 저자도 이런 자신의 상황을 책으로 옮긴것이 아닌가 한다. 저자의 노력에 정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오랜 망설임 끝에 꺼내놓은 이야기가 자신에게도, 당신에게도 작은 희망이 되어주길 바래본다는 저자의 바람처럼 힘들어 하지 않길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