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우스트 ㅣ 러시아 고전산책 5
이반 세르게예비치 뚜르게녜프 지음, 김영란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0월
평점 :
이 책을 본 순간.. 괴테의 <파우스트>를 생각했다. 민음사의 <파우스트>를 가지고 있어서 출판사가 다르니 뭐 번역이 다를테고, 둘 다 읽어보는 것이 좋겠다 싶었는데. 아뿔싸. 이 책은 괴테의 <파우스트>가 아니라 러시아의 이반 투르게네프의 <파우스트>이다. 고정관념이라는게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내 실수를 인정! 이반 투르게네프는 참 생소한 작가인데, 그는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와 함께 러시아 3대 문호의 한 사람으로 꼽히다고 한다. 내 올해,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었고, 지금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3권(총4권) 막바지에 이르고 있으니, 러시아 3대 문호의 작품을 찬찬히 읽어가고 있구나. 처음에 이 책을 받아들고 괴테의 <파우스트>인 줄 알고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긴 했었는데, 아마도, 러시아 3대 문호를 다 만나보라는 출판사 작가정신측의 큰 그림이 아니었나 싶다. 큰 절이라도 해야할 것 같다.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에 비해 낯선 이반 투르게네프는 소설가로 명성을 얻었지만 실제로는 시인으로 시작해서 훗날 불후의 명작 산문시를 남긴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흔히 그를 가리켜 언어의 아름다움, 문체의 완벽성, 응축된 문체에 관한한 세계 문학에서 견줄 사람을 찾기 힘들 정도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시인이라는 찬사를 보내기도 한다(p.205)는데, 이제서야 만나니 아쉽기 그지 없다. 얼마나 편독이 심했는지 알것만 같다.
작가정신의 러시아 고전산책 시리즈의 <파우스트>는 이반 투르게네프의 3편의 단편 「세 번의 만남」, 「파우스트」, 「이상한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특히 「파우스트」는 파벨이 친구 세묜에게 보내는 편지로 이루어져 있다. 파벨은 9년만에 영지로 돌아오고, 대학시절 동창인 프리임코프를 만나게 된다. 우연찮게 그의 아내가 자신이 젊은 시절 좋아했던 베라 니콜라예브나라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그녀와 결혼까지 생각을 했지만 베라의 어머니의 반대로 이루지 못했고, 친구의 아내로 만나게 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베란는 어머니로 인해 모든 예술 작품과는 담을 쌓은채 살아간다. 결혼가 더불어 금기에서 해방되지만 스스로 예술 작품과는 거리를 둔다. 그러너 그녀에게 파벨은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어주고 베라는 파우스트적 세계에 눈뜨게 된다.
베라는 참 재미없는 삶을 살았던 것 같다. 물론 내 입장에서 보면 그렇다. 어떻게 소설하나 시하나 접하지 못했을까. 또 하나 궁금한건 <파우스트>가 어떤 내용이길래 그런 베라가 스스로 억제해왔던 삶에서 새로움을 발견한 것일까. 직접 읽어보지 않은 점이 매우 아쉽다. 뒤늦은 깨달음에 그리고 어머니의 환영을 본듯 힘들어 하던 그녀의 마음을 그냥도 안타깝게 여겨지기는 했지만 <파우스트>를 읽어보면 그녀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