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과 시작은 아르테 미스터리 9
오리가미 교야 지음, 김은모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노는 9년전 만났던 첫사랑의 그리워한다. 사진한장 없고 겨우 몇마디 나눈것 밖에 없는 그녀의 그림을 그리며 그리워한다. 그는 대학 오컬트 연구회 멤버이다. 오컬트란 말이 언급될때 예감을 했어야 하는데 말이다. 오컬트는 과학적으로 해명할 수 없는 신비적, 초자연적인 현상 또는 그런 현상을 일으키는 기술을 일컫는 말로 아마도 그것이 이 작품 전체의 복선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다 헤어스타일만 다를뿐 그녀를 봤다고 같은 연구회 멤버 지나쓰가 말한다. 9년이나 흘렀는데 말이다.


번역을 그대로 옮겨와서 그런지 아니면 뱀파이어와는 다른 그런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인지 "흡혈종"이라는 표현을 쓴다. 그들은 인간의 혈액에서 영양분을 얻어 젊음과 장수를 누리는, 매우 뛰어난 오감과 신체 능력을 지닌 생명체이다. 그래서 9년전 만났던 도노의 첫사랑 아카리는 여전히 그 모습 그대로다. 등록만 된 흡혈종이라면 필요한 만큼의 혈액을 얻을 수 있기에 인간이 죽을 만큼 피를 빨 필요가 없는데, 흡혈종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게 된다.


예전에 영화로 꽤 유명했던 소설 < 트와일라잇 >이 생각났다. 같은 뱀파이어를 소재로 한 소설이었지만 아무래도 장르소설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연쇄살인사건이 등장하는 이 이야기가 더 흥미를 끈다. 다만 9년을 기다린 첫사랑의 애틋함은 좀 느껴지지 않았는데 - 아마도 로맨스 소설보다 장르소설을 더 좋아해서 그러지 않았을까 - 마지막의 그 애틋함을 느끼게 돼서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띠지의 "이 삶이 끝나는 순간 네 곁에서 다시 태어날 거야"라는 말이 더 마음에 와닿았다고나 할까.


그런데 정말로 이 세상에 이런 흡혈종이 있다면 어떤가라는 생각을 해봤다. 글쎄, 과학적으로 해명할 수 없는 그러한 것은 없다. 다만, 과학이 발전하고 기술이 향상되면 다 설명될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나로서는 무리인가. 어쨌든, 이제 새롭게 태어난 도노의 시작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