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사이드 클럽 스토리콜렉터 83
레이철 헹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제 1의 물결, 과거 세대는 150세 가까이 살았다. 제 2의 물결, 현재 세대는 300세 이상 살 수 있다.

그리고 곧 제 3의 물결, 영생의 삶이 시작되고 있다.

요즘 100세 시대라 하는데... 이건 뭐.. 하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오래 살수 있는 것은 아니다. 태어나자마자 수명을 알리는 숫자를 받는다. 그때부터 라이퍼와 비라이퍼로 나뉘게 된다. 또한 오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조절해야 하는 음식과 적절한 운동과 몇가지 시술도 필요하다. 라이퍼들은 합법적인 정부 지원도 받게 된다.


레아는 100세 생일을 맞이했다. 어느날 길에서 분명 아버지를 보았다. 88년 만이다. 순간 아버지를 쫓아 길에 뛰어든다. 감소하는 인구수에 철저하게 관리 받던 라이퍼. 하지만 레아는 자살시도를 했다는 오해로 감시 대상이 된다. "죽음을 강탈당하면 삶도 강탈당하게 됩니다. 우리는 선택권을 빼앗겼습니다."라며 수명유지 시술과 금욕적인 삶에 환멸을 느낀 사람들이 모여 금지된 것을 즐긴다.


오페라 가수인 어머니를 따라 뉴욕으로 건너온 안야. 영원히 살고 싶었던 어머니는 시술과 교체에 집착했고, 결국 부작용으로 병상에 누웠다. 죽지 못해 살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레아와 안야 두 여성을 내세워 진정한 영생의 삶에 대한 고민을 독자들에게 던진다. 스스로 삶을 마감하려는 아버지를 막고, 감시대상자에서 제외되어 제 3의 물결의 대상자가 되기 위해 레아는 '수이사이드 클럽'의 비밀을 폭로한다. 그에 반해 안야는 어머니의 삶을 잘 마감할수 있도록 계획을 세운다.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은 좋지만, 이 소설에서처럼 일부러 시술을 받고, 장기를 교체하면서 까지 오래살고 싶지는 않을 것 같다. 육식을 금하면서 오래사는 건 어떠냐는 물음에 딸아이는 오래 살고는 싶지만 육식을 포기한 삶은 딱히 오래 살 이유가 없다고 한다. 적당하게 즐기면서 적당하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지 않을까. 가늘고 길게 사는 것보다 짧더라도 굵게 인상 깊게 살아 가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선택받은 사람들은 도시로 모여들고 비라이퍼인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라진 외곽에서 쓸쓸하게 살아간다. 출생률이 갈수록 최저로 떨어진 요즘 결코 이 소설의 이야기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 같다. 과연 어떤 삶이 살아야 하는가. 우리의 생은 함부로 해서도 그렇다고 억지로 끌고 나가서도 안될것 같다. 초반에 왜 레아는 이 클럽을 폭로하려 하는가 하며 의문이 생겼지만 마지막의 결말에서는 레아와 안야의 입장이 이해가 되면서, 깊은 생각에 빠질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