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는 괜찮아 - 엄마를 잃고서야 진짜 엄마가 보였다
김도윤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엄마를 잃고서야 진짜 엄마가 보였다....라는 말이... 이해가 가질 않았으면 좋겠건만.. 나이가 많은 탓인가..이해가 되니 어쩌나...싶다. 그만큼 이제는 철부지가 아닌 중년의 나이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에 딸이면서 또한 엄마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극심한 우울증으로 고통스러워하던 저자의 어머니는 어느날 극단적인 선택을 하셨다. 미처 작별 인사도 없이.. 같은 경우는 아니었지만 사촌 올케 언니가 하루아침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올케언니는 엄마와 나이가 비슷했드래서, 어렸을때 큰집에 가면 마치 엄마처럼 옷도 갈아입혀 주곤 했었다. 큰조카가 나보다 나이가 한살 많았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작별인사 없이 헤어지는 것은 참 힘든 일이라는 것을 그 때 알았다. 갑작스런 올케언니의 소식, 조카들의 황망함... 결코 오랫동안 가족들과 함께 할 수는 없겠지만, 만약 그런 경우가 온다면 작별인사 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준비되지 않은 이별은 남겨진 사람에겐 크나큰 고통과 후회를 안겨줄테니까..
저자는 어머니의 본 모습을 알지 못했다. 항상 어머니는 괜찮다 했고, 자신의 등만을 바라보기만 했던 분이었다. 어머니를 잃고서야 비로소 어머니의 본모습을 알았다고 한다. 대부분 우리들이 어머니의 본 모습을 알 수 없듯이, 또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항상 괜찮다고 한다. 가만 생각해보면 나도 딸한테는 항상 괜찮다고 하는것 같다. 실제 괜찮치 않지만 딸아이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괜찮다고 하는것 같다. 우리 엄마도 언제나 괜찮다고 하셨으니까 말이다.
아무래도 아픈 엄마와 함께 하다 보니까, 이 글을 읽으면서 남의 일 같지 않음을 느꼈다. 지금은 아직 엄마와 함께 하고 있지만, 언젠가 나도 엄마와 이별을 하게 된다면 뒤늦은 후회를 하지는 않을까 걱정된다. 그럴때마다 지금 아직 엄마가 곁에 있을때 많은 이야기를 하며 함께 하자 했지만 맘대로 되지는 않는다. 그런걸 보면 엄마는 어떻게 하염없이 기다려주고 하염없이 괜찮다고 하는 것일까.
이 글은 꼭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자식의 사모곡이지는 않다. 어머니의 부재로 인해 자신의 본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는 수기가 아닐까 한다. 어머니의 존재만으로 위로받으며 보호받았겠지만 혼자서는 묵묵히 헤쳐 나가야 함을 간접적으로 느낄수 있는 그런 이야기이다.
굳이 위로하려 애쓸 필요 없이
그 사람의 상처를 바라봐주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의 이야기를 온전히 들어주는 것으로도
그 사람의 마음에는 풀잎이 다시 자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