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을 듣고 참 읽고 싶었던 책이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한 것과는 차이가 좀 있는 것 같다. 프롤로그를 읽을 때부터 이해할수 없는 이야기가 나오다보니 삐딱선을 타고 책을 읽은것만 같다. 모든 사람에게 평등이라는 말을 이야기하기에는 뭔가 억지가 느껴진다. 이주민을 향해 "한국인 다 되었네요"라는 말이 가장 모욕적인 표현의 대표적인 예로 언급되었다고 한다. 이 말은 자신이 아무리 한국에서 오래 살아도 우리는 당신을 온전히 한국인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 있기 때문에 모욕적이라고 했고, 굳이 한국인이 '되고'싶은 것이 아닌데 왜 한국인이 된다는 말을 칭찬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제기였단다. 아무리 지구촌이라고 해도 엄연하게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사람들인데, 애초에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도 아니고 사고방식도 다를진데, 당연히 외국계 한국인이지 어찌 한국인이 되겠는가. 어떤 말을 할때 그 사람의 의향까지 알아보고 말을 해야 하는 것일까. 한국이 될 생각도 없으신데 한국인이 다 되었다고 해서 죄송하다고 해야 하는 것인가.


혹은 대학의 본교 캠퍼스와 분교 캠퍼스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분명 본교 캠퍼스와 분교캠퍼스간의 대학선발 기준도 다르다. 그 선발 기준이라는 것은 성적과 역량일 것이다. 솔직히 이렇게 좀 기분이 좋지 않다는 것은 저자가 너무나도 일반화만을 시켰다고 생각된다. 어쩜 본교 캠퍼스에 다니는 학생들은 머리가 뛰어나지 못해서 엄청난 노력으로 인해서, 가령 노는 시간 잠자는 시간을 줄여가면서 공부를 했을 것이다. 당연히 그런 노력을 한 학생은 더 대우를 받아야만 한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이라면 학생 개개인의 노력은 무시하고 오로지 단순한 분교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으면 안된다는 이야기는 이해할수가 없다. 노력의 댓가에 차별이라는 것을 붙이는 것은 어불성설이 아닐까.


하지만 무조건 공감하지 못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드라마 "미생"은 보지는 않았지만 그 곳에서 언급된 명절선물의 차이이다. 정규직은 햄세트를 주고 비정규직은 식용유 세트를 받는다는 이야기이다. 이미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임금과 계약기간등에서 차이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선물 세트라든가 호칭으로의 차별은 옳지 않다고 본다. 또한 나는 노키즈존에 대해서는 찬성이다. 식당에서 정신없이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싫어한다. 대중교통에서 신발을 신고 의자에 올라서는 아이들도 싫다. 이것은 보호자가 충분히 제지 해 줄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대로 내버려 둔다는 것은 타인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스레 입장을 거부할수 있다고 본다. 그것이 차별이라고 한다면 어느 외딴섬에서 혼자 살아야 하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과 살아야 하는 사회에서는 배려라는 항복이 필요하다. 하지만, 내가 유색인종이라서 내가 몸이 불편해서 입장을 거부한다는 것은 엄연히 차별이라고 할수 있다고 본다.


이 책이 불편했던 이유는 모든 사안에 있어서 너무나 일반화 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아이를 보면 어떤 아이들은 열심히 공부하고 이해를 잘한 아이도 있고, 잘 찍은 아이도 있다. 낮은 점수를 받은 아이를 보면 열심히 노력은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해력이 부족해서 그런아이도 있고, 전혀 공부를 하지 않은 아이도 있다. 열심히 했던 아이들이 차별을 논한다면 난 이해해줄수 있을것 같다. 하지만 노력하지 않은 아이들, 요행을 바라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은 아이들은 차별을 논하면 그냥 무시할것 같다.


어떤 경우라도, 무엇을 할지라도 누군가는 차별당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누가봐도 차별이 맞다 할수도 있고, 이게 왜 차별인데라고 의문을 가질수도 있다. 우리가 차별의 간극을 줄일수 있는 것은 성숙된 의식이 아닐까. 내가 몸이 불편한 사람을 도와주는 것은 당신처럼 몸이 불편한 사람은 이것을 할수 없을꺼야라는 생각보다는 내가 내가 도와주면 그 사람도 문턱을 잘 넘을수 있으니까, 시간을 단축할수 있으니까라는 생각때문이다. 이것을 그 사람도 문턱을 잘 넘을수 있는데 왜 굳이, 단축한 시간도 겨우 조금인데 왜 굳이라고 말한다면... 어디 이 세상 살아갈수 있을까. 그래서 더 성숙한 의식을 갖기 위해서 책을 읽고, 고민하고, 생각을 교환하는 것이 아닐까.


나는 차별주의자가 되련다. 그것이 선량하든 불량하든간에.. 나는 노력하고 배려하는 사람이 좋다. 하지만 안하무인격인 사람은 싫다. 아무리 선한 생각에서 나온 것이라도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는 행동은 싫다. 나의 행동에 차별을 받았다고 생각하면 이야기 해줬으면 좋겠다. 내가 타인을 차별하는 행동을 했다면 나도 무언가 차별을 받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