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크리스티나 달처 지음, 고유경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2월
평점 :
이 책을 고작 다섯페이지를 읽고서 욕을 한바탕 해주고 싶었다. 무지몽매한 인간들에게 말이다.
모든 여성이 하루에 100단어만 말할 수 있도록 통제된 세상이 되었다. 여성들은 여권도, 말도, 그리고 돈도 가질수 없었다. 삼종지도(三從之道)가 딱 어울리는 말이라고 할까.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혼인해서는 남편을 따르고, 늙어서는 아들을 따라야 한다는 여자가 남자를 따르는 세 가지 길이라는 이 말이 현재에 일어나고 있다면 너무 성질이 날것만 같다. 얼마나 무지몽매한 인간들이 이런 세상을 꿈꿀까.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들었던 생각이 동물들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거추장스러워도 화려한 모습으로 택한다. 그래서 보통 암컷보다 수컷이 예쁜 동물들이 많아. 오로지 인간만이 여성을 상품화 시키면서 억압시키려 한다. 모든 결정권은 남자에게 있고, 여성은 그저 순종적으로 집안일만을 해야 한다. 우유를 사놓아 달라는 스티븐. 그의 건방진 태도가 그대로 느껴졌다. 그건 여자들이 할 일이라고. 내 앞에 있었다면 입을 틀어막아 버렸을지도 모른다. 어느날 진 메클렐런 박사는 정부로부터 실어증 치료제를 만들어 달라는 제안을 받게 된다. 그저 힘없고 손목에 카운터를 달고(100단어 이상이 되면 전기가 통하는)있는 우리의 주인공 진은 신경학과 언어학의 권위자였다. 이 순간 거보라. 능력 없는 것들이 남자라는 이유만으로 여자 위에 군림하려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게 여성을 단순화 시켜 자신들의 밑에 두려 했다면 진에게 연구에 참여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닌가.
이 이야기가 소설속 이야기라서 그나마 어떤 식으로 이 말도 안되는 사회를 뒤집을 것이냐 생각하면서 책을 읽기는 했다. 분명 허구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암울한 끝맺음은 아니지 않을까. 하지만 또 문득 <천개의 찬란한 태양>이라는 이야기도 떠올리게 되었다. 이 책 <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는 소설속 허구의 이야기라고 한다면 <천개의 찬란한 태양>은 아직도 지구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세계의 절반이 조용이 입다물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소설. 이 책은 꼭 여성에 대한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는 아닐테다. 인종 차별 뿐 아니라 흔히드 금수저 흙수저라고 일컬어지는 계급간 불평등, 권력을 가진자와 아닌자의 불평등, 동물들에 대한 불평등. 나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라고 하는 이들의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함을 이 책을 보면서 다시 한번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