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괴물 나무꾼
쿠라이 마유스케 지음, 구수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아이를 유괴한 부부, 4명의 아이들에게 수술을 했고, 그것을 견디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15명의 아이들은 집 마당에 묻혔다. 그로부터 26년후 변호사 니노야마 아키라는 괴물 마스크를 쓴 사람에 의해 피습을 당한다.
처음부터 참 강렬하게 시작을 한다. 아이들을 상대로 하는 범죄는 예나 지금이나 치가 떨린다. 분명 초반에 나온 사건은 이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데 적잖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처음에는 "도끼를 든 괴물 마스크 vs 사이코패스 변호사"라는 책 표지의 글 때문에 사이코패스 변호사가 끈질기게 범일을 찾아 나서는, 그런 이야기인줄 알았다. 그런데 자신을 방해하는 사람을 거리낌 없이 죽여온 사이코패스 변호사 '니노미야 아키라'가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는 괴물 마스크를 쓴 범인을 추격하는 이야기이다.
"너희 같은 괴물들은 죽어야만 하니까."라면 위협을 가하는 범인. 하지만 다른 사람이 등장하자 아키라에게 도끼를 던지곤 도망간다. 도끼를 머리에 맞은 아키라는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는 사람이 있다면 수사가 시작되고 그러면 이 녀석을 죽일수 없다는 생각에(역시 사이코패스 아키라) 얼른 지갑의 돈을 입안에 쑤셔넣고 살인미수가 아닌 강도 사건으로 둔갑시킨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아키라는 머리속에 칩이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갑자기 뇌가 사라진 살인사건들이 발생하게 된다. 과연, 이 끔찍한 살인사건과 아키라의 상해 사건이 연관이 있을 것인가. 또한 앞선 아이를 유괴했던 사건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
처음에 표지를 봤을 때는 참 특이한 표지라고 생각했는데, 이야기를 읽다보니 관련이 꽤 싶은 표지다. 뇌가 사라지는 살인사건이라니. 참 별난 세상 별난 사건들이 많다. 특히나 이 책 중간에 이야기가, 까만 내지로 되어 있는 부분에 있다. 나무꾼의 흉내를 내는 괴물. 어느 누구도 나무꾼이 괴물이라고 깨닫지를 못했다. 자신을 집으로 들여보내달라고 하고선, 집에 들어가면 사람을 먹어치운다. 그런데 책방의 한스가 묻는다. 괴물같다고, 괴물은 나는 괴물이 맞다고 한다. 하지만 한스는 당신은 나무꾼이 될 수 있는 괴물이 아니라, 괴물이 될 수 있는 나무꾼이라 평소에 나무꾼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괴물은 혼란이 왔다. 나무꾼으로 있는 시간이 많으니 괴물로 변할수 있는 나무꾼인지, 나무꾼으로 변한 괴물인지 알수가 없었다.
"내가 밥을 먹을 때 왜 사키가 웃고 있었는지, 내가 다쳤을 때 왜 사키가 괴로운 표정을 지었는지 알게 되었지. 사람의 마음을 느끼게 될 때마다 나는 그 이유를 알게 됐고 행복이라는 것의 존재를 알게 됐지. 그때까지 쾌락과 분노 두 가지밖에 없었던 인생에 처음으로 살아갈 의미가 생긴거야."(p.232)
괴물로 변할수 있는 나무꾼일까? 나무꾼으로 변한 괴물일까? 누구한테 물음의 답을 구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