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끊어진 날 라임 어린이 문학 31
마크 우베 클링 지음, 아스트리드 헨 그림, 전은경 옮김 / 라임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이게 왜 안 될까? 클릭 클릭"

아무래도 할머니가 실수로 인터넷을 고장 냈것 같다. 인터넷이 먹통이 되어 버렸다. 문자도 가지 않고, 내비앱도 되지 않고... 답답하다.

 

지금 생각해보면 뭐 우리가 그렇게 인터넷에 목매여 살고 있나? 예전에도 인터넷 없이 살았는데라는 생각을 해봤다. 그러나 현재 시대는 인터넷을 떼어 내고는 생활이 정말로 막막하지 않은가. 나도 워킹맘이다 보니 장보고 쇼핑하는 시간을 줄일겸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고 택배로 물품을 받기도 한다. 그리고 은행을 직접 가지 않고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기도 한다. 낯선곳에 갈때도 별로 두렵지 않다. 미리 인터넷을 통해 장소를 확인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건지 자동차를 이용할건지 길을 확인하고 가면 되니까. 인터넷 세상은 우리 생활 곳곳에 알게 모르게 자리잡고 있다.

 

만약에 인터넷이 끊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오빠는 휴대폰 게임을 할 수 없다고 난리고, 언니는 음악을 들을 수 없다며 아우성이고, 엄마와 아빠는 업무가 마비되어 집에 일찍 돌아왔다. 텔레비전도 볼 수 없고, 길도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이 끊기도 나니 불편한 점이 많긴 하지만 좋은 점도 있다. 식구들이 각자 휴대폰만 들여다 보거나 컴퓨터만 보거나 TV만 보는 등 개인적인 활동만 했지만 엄마 아빠는 일찍 돌아오고, 길을 잘못들던 아빠는 딸기를 사오기도 했고, 가족들과 함께 춤을 추면서 시간을 보낼 수도 있다.

 

사실 길을 가면서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도 보면 스마트폰에만 열중하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기술이 발전하는 것은 좋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게 된다. 뭐든 적당한게 좋다. 그 옛날 어느 광고 카피처럼 때론 잠시 꺼두는 것 좋을것 같다는 교훈을 주는 그럼 동화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