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이 삐졌다고? 푸른숲 새싹 도서관 20
조재클린 줄스 지음, 데이브 로먼 그림, 김선영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원래는 이렇게 외워야 했지만 요즘에는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하고 끝난다. 뭐가 마무리가 깔끔하지 못하다. 아마도 나는 명왕성까지 9개의 행성으로 배웠기에 지금 8개가 아직 낯설긴 하다. 1930년 발견되었고, 76년만인 2006년 9월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잃었다. 행성은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둥근 형태를 유지해야 하고, 자신의 궤도에서 힘이 가장 세어야 하는데, 명왕성은 세번째 조건에 맞지 않아서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


과학자들이 새로운걸 발견할 때마다 세상은 점점 더 흥미로워지는 거야


과학자들은 탐구를 멈추지 않는다. 세상에는 알고 싶은 것들이 무지 많기 때문에 사람이 살지 않던 아주 옛날일의 공룡의 존재도 알아내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존재도 알아내어 생명연장의 꿈을 이뤄내기도 한다. 지금은 '왜소행성 134340'이 된 예전의 명왕성에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10년만에 접근했다고 한다. 아마 지금도 명왕성과 카이퍼 띠의 탐사를 수행하고 있을 것이다.


예전에는 몰랐던 것들이 과학이 발전하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사실이 혹은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것들이 속속히 발견된다. 참 흥미롭고 새로운데, 문제는.. 호기심이 많던 우리 아이들은 조금만 크면 이런 것들을 재밌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호기심을 잃지 않도록 이런 책이 많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